[신앙과지혜] 대림절(Advent)

Google+ LinkedIn Katalk +

기독교를 기다림의 종교라고 말한다. 대림절은 아기 예수 탄생을 기다리는 절기이다. 대림절은 성탄일 전 4주간의 기간을 의미한다. 이 대림절은 대강절이라고도 하며, 예전에는 장림절(將臨節)이라고도 하였다.
대림절이 오늘날과 같이 4주간으로 지켜진 유래는 멀리 7세기 초의 그레고리 1세 교황 때부터이다. 대림절과 관련된 가장 오래된 문헌은 4세기 후반의 성 힐라리우스(St. Hilarius)가 쓴 Liber officium(성무서)인데, 이 책에는 대림절을 ‘재의 시기’라고 하여 재를 쓰고 금식하며 속죄하는 절기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부활절 전의 사순절의 풍습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림절을 전례적으로 지키기 시작한 때는 5세기 중엽 이탈리아 동북부 아드리아 해변의 도시 라벤나(Ravenna)에서 부터이다. 그 후 6세기에는 로마에서도 지켜졌고, 12세기경에 와서는 공식적인 전례의식으로 확정되었다.

대림절의 시기는 일정하지 않았는데, 4세기의 갈리아 지방에서는 사순절처럼 40일간 지켜진 때도 있었는데, 지금도 밀라노에서는 6주간의 대림절기를 고수하고 있다. 대림절 기간이 4주간으로 정착된 것은 12세기경이며, 이때부터 대림절은 교회력의 시작으로 간주되었다.
대림절은 엄숙하고 경건한 절기로 출발하였다. 교인들은 금식하고 지냈으며, 성직자들은 자색 옷을 입고 예배를 집례하였다. 그리고 교회는 기쁨을 노래하는 대영광송이나 알렐루야 등을 부르지 않았다.
지금도 기독교 국가인 유럽에서는 대림절로부터 성탄절에 이르기까지 교회는 어떤 요란한 행사도 하지 않으며 침묵과 경건으로 일관하고 있다.
그리고 대림절에는 이사야서 같은 예언서나 세례 요한의 회개를 외치는 말씀이 낭독되었다. 대림절은 아기 예수의 탄생을 기다리는 의미와 함께 재림의 주님을 기다리는 의미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한국교회는 대림절부터 성탄절에 이르기까지 너무 많은 행사와 요란한 이벤트들로 넘쳐났다. 성탄 칸타타가 연주되고, 각 교회학교의 발표회도 열렸다.
심지어는 총동원 전도주일을 겸하는 교회도 있었다. 친목회, 망년회, 위로회 등의 친교모임이 교회 안팎에서 왁자지껄하다. 침묵과 경건, 회개와 금식, 자숙과 반성의 대림절과 성탄절 분위기가 요청된다. 한국교회는 누구를 기다리고 있나?

문성모 목사<전 서울장신대 총장• 강남제일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