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창]  “나눔”

Google+ LinkedIn Katalk +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인구통계학연구소라는 곳에서 흥미로운 연구를 했다. 다른 사람들과 나누는 사회와 그렇지 않은 사회의 수명을 연구한 것이다. 이 연구의 결론은 많이 베풀고 나눌수록 오래 산다는 것이다. 많이 나눠서 오래 사는 대표적인 국가가 프랑스와 일본이라고 한다. 이들 국가의 경우 시민들이 평생 자기 수입의 68~69%를 다른 사람과 나눈다고 한다. 평생 소득의 44~48%만 재 분배되는 중국이나 터키와 비교하면 프랑스와 일본의 65세 이상 인구의 사망 위험은 절반에 불과하다는 것이 이 연구의 내용이다. 프랑스와 일본인의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것이 진짜 베풂과 나눔의 결과인지 의문이 들기도 하지만 베풂과 나눔이 정신 건강에 좋다는 것이 상식이기도 하다. 서로 주고받는 행위가 행복감을 증대시킨다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증명된 바 있다. 받는 사람은 직접 혜택을 받아서 기쁘고 주는 사람은 감정적 만족을 얻어내서 행복하기 때문이다. 최근 미국의 억만장자가 평생 모은 전 재산을 기부하는 절차를 마쳤다는 기사가 경제전문지 포브스에 실렸다. 면세점 사업으로 큰 돈을 벌었던 찰스 척 피니라는 89살인 갑부가 기부한 돈이 무려 9조 4천억 원이라고 한다. 살아 있는 동안 가진 재산을 모두 사회에 헌납하겠다고 공언해 온 그는 40년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기부를 실천해 왔다는데, 그가 포브스와의 인터뷰에서 한말이 인상적이다. “빈털터리가 됐지만 더 이상 행복할 수 없다. 생전에 목표를 이루게 돼 매우 만족스럽고 좋다. 이번 여행의 동반자들에게 감사하며 내가 진짜 살아 있는 동안 전 재산을 기부할지 궁금해 했던 사람들에게는 ‛해봐라 정말 좋다’라고 말하고 싶다.” 이 행복한 갑부가 90살 가까이 산 것도 나눔과 베풂의 결과인지 궁금해진다. 우리 나라의 베풂과 나눔 지수가 어느 정도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코로나19 사태가 그나마 있던 우리 사회의 온기 마저 앗아가고 있다는 지적과 우려가 자꾸 나온다. 다들 형편이 어려워지면서 주변의 어려움을 살피는 온정과 배려가 식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요즘 보육원 같은 곳에서는 예년과 달리 찾는 사람들의 발길이 뜸하다고 한다. 심지어 헌혈 인구가 줄면서 혈액 보유량도 부족해졌다고 아우성이다. 혈액 보유량 마지노선인 5일 분이 무너진 지자체도 나온 모양이다. 얼마 전 라면 중화상 형제의 비극이 있었다. 인천의 초등학생 형제가 어머니가 일하러 나간 사이 끼니를 해결하기 위해 라면을 끓여 먹다가 화재로 중화상을 입고 중태에 빠져 한 명은 며칠 전 숨졌다. 10살 난 형이 화마 속에서 8살 난 동생을 감싸 안았다는 대목이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어머니와 함께 사는 이들 형제 역시 기초생활 수급대상자로 형편이 넉넉하지 않아 매달 수급비와 자활근로비 등을 지원받아 왔다고 한다. 코로나19로 경제가 점점 어려워지고 온정의 사각지대가 늘어나는 것 같아 안타깝다. 11월은 감사의 달이다. 섬기고 나누고 베풂의 삶이 생활화 되기를 기원해 본다.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