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가 가져다준 변화와 단절
코로나의 확산은 엄청난 변화를 가져왔다. 사회적 경제적 변화는 물론이고 오늘 우리 교회와 선교 현장을 거의 혁명적인 상황으로까지 몰아가고 있다. 먼저는 교회의 예배가 현장 예배가 아닌 온라인 예배를 통하여 드리게 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런 변화는 코로나 상황이 종료 되더라도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미 사람들은 온라인 예배와 온라인 교회에 대하여 익숙해져 가고 있는 듯하다.
두 번째는 거의 대부분의 선교사들이 고국으로 돌아왔다는 점이다. 혹 현지에 남아있을지라도 더 이상 선교적 사명을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대부분 선교지의 코로나 상황은 우리나라의 경우보다 훨씬 심각하여 이미 모든 것이 단절되고 폐쇄되었기 때문에 선교사들이 과거처럼 선교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한국교회의 목회와 선교 현실이 이렇게 단절되고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큰 변화를 요구받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선교와 미래 교회의 대안적 선교를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
인구절벽과 우리의 미래
이런 코로나의 위기 속에서 우리는 또 하나의 커다란 숙제를 가지고 있다. 그것은 인구절벽의 문제다. 이미 우리 사회는 저출산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한 쌍의 젊은 부부가 낳는 아동의 숫자는 0.9명 미만에 그치고 있으며, 반면에 우리 인구 중 65세 이상의 노년층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미 고령사회를 넘어 2025년이 되면 노년층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로 바뀌게 될 것이라 한다. 이렇듯 저출산과 초고령 사회로의 변화는 우리 사회의 인구문제를 넘어 경제적으로 큰 고민거리가 되었다. 노동인구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농촌 총각들을 비롯하여 우리 사회의 소외된 젊은 청년들에게는 결혼의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자연스럽게 결혼이민자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게 된 것이다. 여기에 더하여 국내의 대학교들은 이미 저출산의 문제로 생겨난 학생 수의 감소로 유학생을 받지 않고서는 더 이상 학교를 유지할 수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이민자의 증가는 필연적 상황이 되었다. 이주노동자와 결혼 이민자 그리고 유학생의 증가는 이제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조건이 되었다.
유해근 목사
<(사)나섬공동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