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비사] 한국교회 초창기 성도들의 특징

Google+ LinkedIn Katalk +

1. 언더우드, 선교사들을 모으는 은나팔을 불다

1908년 한국 선교 23년차의 언더우드는 「와서 우릴 도우라 The Call of Koea」라는 선교보고서를 낸다. 드와이트 무디와 함께 학생자원운동을 선도한 아더 피어슨은 이 선교보고서가 선교사들을 한국으로 불러모으는 ‘은나팔’의 역할을 할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당시 시대적 요청인 한국선교의 황금기를 알아보고 주님의 부르심에 응답할 것을 촉구하며 이 보고서에 추천사를 붙이고 있었다.

피어슨에 따르면, 당시 한국은 그야말로 ‘황금의 시기’를 맞고 있었다. 물론 선교의 황금 시기였다. 기독교 선교야말로 현재 자유대한민국의 복의 근원이었다. 1908년 당시 사람들의 눈에 뚜렷하게 한국 선교의 황금 시기 도래를 읽을 수 있는 표적들이 여럿 나타났다.

첫째, 1882년 맺은 한미수호통상조약으로 은자의 나라 한국에 기독교 선교를 할 절호의 기회가 열린 것이다. 선교사들의 활동 결과 1898년 당시 7명의 세례교인이 비밀리에 성만찬에 참석했다면 이 보고서가 나오던 1908년에는 장로교단에서만도 619개 교회에서 15,700명의 사람들이 성찬에 참여했다. 이들은 장로교단 60,000명 신자들의 대표였다.

둘째, 한국의 희망은 오직 교회에 있음을 한국인들 스스로 깨닫고 있었다. 당시 개신교 신자들은 1,300만 인구 가운데 대략 12만 명으로 0.92%의 신자들이 있었다. 어느 한국인 지도자는[이승만으로 추정-필주] 이 “나라의 희망이 오직 교회에 있다”고 말했다. 교회가 한국인들에게 매우 결여된 도덕성을 심어주고 있으며, 서민들을 변화시키고 교육하는 것을 통해 이 땅을 치료할 수 있다고 보았다.

셋째, 한국교회와 신자들은 초대교회나 사도시대를 방불하는 신앙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비상한 부흥의 영과 복음에 대한 열정의 확산” “회심자들이 수없이 많이 생겨나고” “자신을 돌보지 않는 헌신”이 끊이지 않았다. 자급과 자전과 자치가 그 특징으로 굳혀졌다.

2. 선교지 한국에서만 나타난 정작 독특한 현상

한편 언더우드는 그 23년 동안 “하나님의 교회가 아무것도 없는 상태에서 수천 수만의 강력한 신자들의 몸 된 교회로 성장하는 것을 목격”할 수 있었다. 한국인들이 복음을 받아들이는 태도와 그 결과는 여느 다른 나라와는 전혀 달랐다. 물론 다른 선교지들에서도 하나님께서 일하시고 본인들은 다만 그것을 받아들여야 하는 경험을 많이 했다. 그러나 정작 선교지 한국에서만 나타난 독특한 현상은 한국에서 사역하던 모든 선교사들이 거의 동일하게 이러한 일을 경험했다는 데에 있었다.

“한국교회가 이러한 방식들에 대하여 반응한 태도는 기독교계를 깜짝 놀라게 했습니다. 설교에 있어서의 그들의 열정과 역동성, 그리고 예배당과 초등학교와 중․고등학교를 건축하는 데와 국내외 선교사들을 위해 자신들이 힘들게 번 돈을 아낌없이 내어놓는 그들의 마음의 부요함은 미국에 있는 그리스도인들을 부끄럽게 하기에 충분했습니다.”

류금주 박사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