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시대 황당한 노인시리즈가 있다.
일찌감치 재산 상속 다 해주고 자식한테 용돈 타 쓰고 있는 자
오래 살았다고 환갑, 회갑 잔치하는 자
왕년에 내가~ 로 입만 벌리면 자뻑하는 자
60 넘었다고 8자 걸음하며 노인 행세 하는 자
나이들어 집 평수 늘려가는 자
나이 많은 척하며 면도도 하지 않고 돌아다니는 자
몸매 생각지 않고 성형수술하거나 명품에 과욕 부리는 자
빚보증 서주거나 퇴직금으로 사업자금 대주는 자
손주 양육하느라 여행이며 동창회도 못나가고 힘들어 혈변 누는 자
비행기 타고 외국가 집안일 해주고 손자 돌보는 자 (비행소녀)
무엇보다 지금 우리는 인류 역사에 전례가 없는 장수시대로 긴 노년기를 맞고 있다. 은퇴 후 짧게는 20년, 길게는 40년 이상 남아 있다. 그 시간 동안 무엇을 하며 어떻게 보내야 할까? 인생의 전반기처럼 후반기에도 내 삶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목적이 있을까? 인생의 마지막 장을 어떻게 보낼 것인가?
은퇴는 축복이자 새로운 출발인 동시에 사회에도 기여할 수 있는 기회다. 그동안 쌓아놓은 경륜과 노하우는 다음 세대에게 넘겨주고, 비로소 조직에서 벗어나 또 다른 입구에 서 있는 것이다. 은퇴했다고 일을 놓는 것이 아니다. 또 다른 목적지를 향해 걸음을 옮기는 것이다. 인생 2모작, 3모작을 위해 다시 출발하는 것이다.
평균수명 60~70세 시대에 60대는 인생의 끝자락이지만 120세 시대에 환갑은 이제 겨우 하프타임을 맞이한 것이다. 시간의 개념을 바꾸면 생각과 삶이 달라진다. 남은 시간이 50년이 넘는다면 그 시간을 어떻게 살 것인가? 무엇을 위해 살 것인가?”
사실 70세 혹은 80세 이후의 삶에서 어떤 활동을 위한 목표나 계획을 가진 사람은 드물다. 그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준비 없이 장수시대로 들어서고 있다.
인생을 고해로 만들 것인가, 낙원으로 만들 것인가? 그것은 오로지 자신의 선택에 달려 있다. 삶의 완성은 후반전에 이루어진다. 결론은 후반전인데, 재능이나 물질을 제대로 쓰지 못하고 남겨놓고 죽는 것도 바보같은 삶이다.
미국 최고의 재무설계사 스테판 폴란은 책 ‘다 쓰고 죽어라(DIE BROKE)’를 통해 얼마를 벌 것인가 보다 어떻게 쓸 것인가?를 고민하라고 했다. 잘 사는 후반전 살아 있는 동안에는 여유 있게, 죽을 때는 홀가분하게 떠나자.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나는 강의할 때 은퇴 후에는 사업계획서를 들고 다니지 말라고 했다. 70세가 넘어서 사업계획서를 들고 다니는 사람은 정신과 병원에 가라고까지 했다.
그런데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100세를 넘어 120세를 바라보는 시대가 된 것이다. 120세는 인간에게 생물학적으로 가능하다고 받아들여지는 수명으로, 현재까지 인간에게 허락할 수 있는 최대 숫자이다. 그래서 요즘은 강의할 때 체력이 허락하고 분별력이 있는 한 죽을 때까지 은퇴하지 말라고 한다. 영원한 현역으로 반 은퇴하라고 한다. 봄의 꽃만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세월 따라 곱게 물들어가는 가을 낙엽도 아름답다.
두상달 장로
반포교회
(사)인간개발연구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