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광장] 헤르만 헤세

Google+ LinkedIn Katalk +

가을이 성큼 다가선 느낌이다. 2년여에 걸친 코로나 팬데믹으로 지치고 유난스러운 무더위와 태풍에 시달렸던 우리에게 갑자기 찾아온 가을이 반갑다. 오랜만에 서늘한 바람과 높고 푸른 하늘을 만나면서 그동안 잊고 있었던 우리나라 특유의 가을 정취를 다시 떠올리게 된다. 

정주 시인이 노래하듯이 가을은 국화의 계절이기도 하다. 지난여름 그 격정의 시간을 보내고 이제는 돌아와 조용히 아름다운 한 송이 꽃을 피우는 국화와 같이, 분주한 일상을 뒤로하고 잠시나마 시간을 내어 사색과 성찰로 자신을 돌아보기에 좋은 계절이 아닌가 한다. 

소슬한 가을바람을 맞으며 문득 젊은 시절의 꿈이었던 문학 소년으로 돌아가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옳지, 이번 가을에는 문학의 세계에 흠뻑 빠져보는 것도 좋으리라. 이런 생각에 단숨에 동네 도서관으로 발걸음을 옮겨 세계문학전집을 찾았다. 

셰익스피어, 톨스토이, 도스토옙스키, 릴케, 사르트르… 이런 저자들의 책이 눈 앞에 펼쳐질때 마치 진기한 음식들이 적혀있는 메뉴판을 들고 흐뭇해하는 심정으로 충만한 행복감이 가슴에 차오르는 것이 아닌가. 

먼저 무엇을 읽을까 생각하면서 도스토옙스키나 톨스토이의 명작들도 잠시 돌아봤지만 무겁고 난삽한 러시아 작가의 소설들 대신에 더 마음이 가는 제목들이 눈에 들어왔다. 유년시절 사춘기의 질풍노도와 같은 시기를 지나면서 읽었던 헤르만 헤세의 소설들이 마음을 사로잡았던 것이다. 

『데미안』, 『수레바퀴 아래서』, 『싯다르타』 같은 소설들을 가슴 졸이며 읽었던 아련한 추억들이 되살아나며 사춘기 소년의 두려움, 절망, 기쁨이 다시 밀려왔다. 그런데 과연 이 세상의 풍상을 겪을 만큼 겪은 후에 다시 마주하는 사춘기 소년의 세계가 과연 어떨지 궁금하기도 하고 가슴이 설레는 것이었다.

『데미안』은 젊은 시절 단지 사춘기 소년의 고뇌를 다룬 성장소설로만 이해했던 것과는 달리, 헤르만 헤세의 당시 현대문명에 대한 비판과 예언이 담긴 문명비평서라는 것이 분명하다. 소설이 출간된 1919년 유럽이 1차세계대전이라는 참혹한 전쟁을 겪고, 또 이어서 2차세계대전의 먹구름이 짙어지는 당시, 유럽문명이 쇠퇴하고 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된 원인을 유럽의 고전정신의 상실에서 찾으려는 헤르만 헤세의 정신적 편력을 담은 소설이었던 것이다. 특별히 유럽문명의 토대가 되는 기독교가 근본정신을 상실했다고 보고 불교와 유교같은 동양사상에서 해결책을 찾아보려는 헤세의 고민을 엿볼 수 있다.

헤세가 1943년 그의 나이 66세 때에 출간한 『유리알 유희』는 이런 고민의 완결판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소설에서 헤세는 당시 사람들의 정신적 상태를 다음과 같이 묘사하고 있다. “이미 교회에서는 더 이상 위안을 얻지 못하고 정신적 조언도 듣지 못한 채 거의 무방비 상태로 죽음과 공포, 고통과 굶주림에 직면해 있었다… 그 시대의 걱정스러운 징후는 삶의 메마른 기계화, 도덕의 깊은 타락, 국민들의 믿음 상실, 예술의 진실하지 못함 등이었다. 이 정신적 타락의 징후가 가장 먼저 나타난 것이 음악과 예술의 타락이다.” 『유리알 유희』는 “욕망과 금욕, 혼돈과 질서, 삶과 죽음, 동양과 서양, 선과 악이라는 존재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요 방법론이다.” 

이 가을, 세상이 다시 혼란으로 빠져들고 문명의 위기가 느껴지는 지금, 헤르만 헤세를 읽으면서 기독교의 근본정신을 어떻게 회복할 수 있을지 깊이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김완진 장로

• 소망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