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앞에서 사람들은 언제나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경험을 의지하려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우리의 경험은 문제의 해결이 아니라 거대한 시대상황이라는 물줄기를 거스릴 수 없음을 바라보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 앞에서 인간의 경험이란 문제해결의 임시방편에 불과하지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방법이 될 수 없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한국교회의 모습을 안타까움으로 바라본다. ‘혼돈’과 ‘혼란’이라는 표현이 적합할 듯하다. 한국교회가 지닌 율법적 틀을 일시에 뒤흔들고 있다. 교회, 예배, 선교의 당연성이 율법에 갇혀 바이러스의 직접적 영향으로 혼란과 혼돈에 휩싸여 있기 때문이다.
코로나19의 위세가 많이 꺾였지만 언제 발걸음을 멈출지 우리는 알 수 없다. 이스라엘은 자기를 다스리는 왕으로 인해 복을 받고, 자기를 다스리는 왕으로 인해 저주에 이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정작 교회의 몸이신 예수님이 왕으로서 존립하는 교회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율법에 갇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율법의 한계는 교회가 교회로 소통하지 못하게 하고 서로 적대하고 분열하는 현상으로 치닫게 했음을 인정해야 한다, 신앙의 세속적 흐름을 거스릴 수 있지만 종교는 세속적 흐름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 같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해 예배가 영상예배로 대치되고, 관계가 단지 폰에 의지할 수밖에 없는 우리의 처지 되었지만, 말씀을 붙잡고 살아가는 성도는 결코 교회를 건물로 간주하지 않으며 예배를 장소에 구속하지 않는다.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세워진 성도 자체가 교회이기 때문이다. 십자가상에서 다 이루신 하나님의 뜻이 성도 가운데 힘있게 역사하고 있다고 믿는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바라보며 한국교회의 방향성은 오직 말씀으로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 한국교회를 교회되지 못하게 한 말씀에 대한 왜곡과 세상과의 타협의 한계를 돌이킴과 말씀의 회복에서 그 방향성을 찾아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 극복은 교회에 대한 성경적 본질을 되찾는 길이다. 교회란 그리스도의 몸과 피로 세워졌음을 잊지 말아야 하기 때문에 예배를 조직의 공고함이나 종교성 함양의 기회로 삼을 것이 아니라 교회로서의 성도로 하여금 말씀을 나눌 수 있도록 고민하고 준비하고 배려할 수 있어야 한다. 스스로 말씀을 묵상하는 시간을 가지는 것과 가정의 일원으로서 가정예배를 소중히 여기는 태도는 교회의 기초이다. 다음세대들에게 교회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예배와 말씀을 어렸을 때부터 교육하고 함께 나누어야 한다. 그리고 그 유산을 이어가야 한다.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다시 한번 바라볼 수 있는 기회 되기를 소망한다.
양영선 장로
<제주노회 장로회장, 협재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