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평전] 해상(海上)공간 개발 I (한국, 일본의 경우)

Google+ LinkedIn Katalk +

해양공간(海洋空間)이 자원개발 대상으로 등장했다. 인공섬이나 해양구조물 등의 건설을 통하여 광활한 해상공간(海上空間)이 활용되면서 입체적인 해상공간 개발이 되고 있는 것이다.

즉 미래 각종 산업시설과 주거공간을 해상(海上)에 건설하여 비좁고 공해(公害)에 찌들고 있는 육상공간의 문제를 풀어나가고 있는 것이다. 일본이 나가사키에 해상비행장(198만km2규모)을 건설하여 소음공해 문제를 해소한 것이라든가, 고베에 인공섬 포트 아일랜드(436km2규모)를 건설하여 도시(땅)를 바다로 확장한 것은 이러한 해양공간 이용의 좋은 본보기이다.

일본의 지중해라고 불리우는 세토 내해(內海)의 섬들과 미야지마 해안은 풍광이 뛰어나다. 이 해역의 신사(神社)는 바다 위에 떠 있는 환상적인 용궁 모습이다. 해안의 완만한 모래 위에 건설되어 밀물 때는 완전히 바닷물에 잠겨 해상 건축물로 변모한다. 이 신사의 정문은 바다 한가운데 세워졌다. 높이 16m, 기둥 간격이 11m인 대형 구조물이다.

최근 부산에 ‘부체식(浮式) 해상도시’를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포럼이 열렸다. 유엔 관계자와 각계 전문가들이 이 해상도시 프로젝트 공식행사에 참석했다. 브루노 데콘 유엔 해비타트 아시아태평양지역본부 대표는 “현재 유엔이 추진 중인 「2030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프로젝트를 위해 해상도시(海上都市)는 매우 중요하며 디지털 혁신, 첨단 기술 등을 가진 부산의 역할이 크다”고 말했다.

해상도시는 세계 도시정책을 관장하는 최고 기구인 유엔 해비타트가 2019년 4월 제안했다.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지 않고 에너지와 식량 수요를 충족시키는 인류의 피난처를 만들자고 출발한 해상도시 개발에 미국 기업 오셔닉스가 참여하고 함께 프로젝트를 구체화했다. 이에는 첨단기술을 활용해 무너져가는 해안 생태계를 재생시키자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당초 미국 뉴욕과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 등이 검토 대상이었지만 부산이 최종 낙점됐다. 이 프로젝트의 호칭은 ‘오셔닉스 부산’으로 결정됐다. ‘이타이 마다몸베’ 오셔닉스 최고경영자(CEO)는 “최근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기존의 건축 방식은 변화가 필요하다”며 “자연(바다)과 공생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바로 해상 스마트시티”라고 말했다.

부산 해상도시는 엑스포 개최 예정지인 부산항 북항(北港) 근처에 조성된다. 그곳은 비교적 풍파가 밀려드는 곳이 아니다. 계획은 부산 엑스포 개최에 맞춰 2030년까지 건설되는게 목표다. 이를 위해 북항에 육지와 다리로 연결되는 해상 부유식 플랫폼 3개를 건설한다. 총 6만m2 부지에 1만2천명을 수용할 수 있는 규모로 만들며 사업비는 7천200억 원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2027년 착공해 늦어도 2030년 완공한다는 목표를 확정했다. 각 플랫폼은 거주와 연구, 숙박 등 기능이 나뉜다. 태양광 발전으로 도시 운영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하고, 물을 포함한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는 계획도시이다.

지난 1969년에는 P․와이드링거가 ‘FLAIR’ 구상이라 불리는 부체식(浮式) 해상공항 구상도 제안된 바 있다. 이 구상에서는 잠수형의 부력체를 200ft × 200ft(60m)의 모듈로서 그것을 연결시켜 길이 1만2천ft(3천600m 정도), 폭 1천400ft(400m 정도)의 2개의 활주로를 만들고 그 사이에 4천800ft × 2천800ft 규모를 가진 터미널기능을 삽입한 H 형태를 한 공항(空港)건설 안이다. 구조적으로는 최대 풍속 58m, 파고 12m에 견디며 수심 70m 정도의 해역에 설치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부력체를 만들고 프리스트레스에 의한 연결구조형식이 사용된다.(사진참조)

미국 해군에서는 최근 MOBS(Mobile Offshore Base)라 불리는 이동가능한 부체식 해상공항과 이동식 보급기지 MLPS(Mobile Logistic Platform) 건설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런저런 해양부체식 구조물에 의한 해상공항 구상은 도심부에 가까운 해역에 설치됨으로 육상에서의 소음문제를 피할 수 있고, 광대한 면적의 토지 확보 곤란을 피할 수 있다. 도심 가까운 곳에 설치됨으로 공사기간도 단축할 수 있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해역에서도 건설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결점은 공사비가 비싸다는 점이다. 지금까지는 미국, 일본 등에서 해상공항(海上空港)을 부체식 구조물로 연결하려는 구상이나 계획은 검토됐으나 구체화되지는 않고 대부분 매립이나 파일(말뚝)방식에 의한 해상공항건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일본이 현재 간사이공항, 하네다공항 D활주로건설계획에 부체식 구조물 이용을 검토하고 있다.

김동수 장로 

•관세사

•경영학박사

•울산대흥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