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주의 강단] 왜 가정에서 화가 많이 날까?

Google+ LinkedIn Katalk +

1. 가정은 애정이 확인된 곳이기 때문이다.

가정은 애정이 확인된 곳이다. 내가 무엇을 어떻게 해도 나를 떠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다. 배우자와 자녀를 향한 사랑이 확인된 곳이기에 감정의 가면이나 감정을 억압해야 할 이유가 없다. 사랑하기에 존경하고 존중하기보다는 성장하면서 위로받지 못한 감정, 미해결된 감정, 상한 감정들이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이며 자동으로 표출이 된다.

2. 가정은 보복의 두려움이 없기 때문이다.

사회나 대인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을 그대로 표현하거나 분노를 표현하게 되면 불이익을 당할 수 있고, 보복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을 느낄 수 있기에 화가 나거나 스트레스를 받아도 자신의 화난 감정을 억압한다. 하지만, 가정은 애정이 확인된 곳이고 혈연공동체이기에 내가 어떤 일을 해도 보복당할 것이라는 두려움이 없다. 그래서 부부도 서로에게 화를 내고 부모도 아이에게 화를 내고, 자녀도 부모에게 화를 낸다. 어떻게 보면 가정은 분노와 짜증을 내도 괜찮다고 특권을 준 공간과 같다고 할 수 있다. 

3. 가정은 감정 체제다.

사회공동체는 이성 체제이며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체제이다. 방어기제가 자동으로 작동하여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억압하며 잘 조절하면서 살아간다. 그래서 기분이 약간 나빠도 참고 인내하며 이성적이고 인격적으로 대화한다. 그러나 가정은 이성 체제가 아니라 감정 체제다. 좀 더 직설적으로 표현한다면 감정 덩어리다. 지나치게 감정으로 밀착된 공동체다. 그래서 가정은 상대방의 행동에 대하여 창조적이며 이성적으로 대하고 반응하기보다는 감정 반사 행동을 많이 하기에 짜증이나 화를 많이 낸다. 더 심각한 것은, 감정 반사 행동이 무의식적이며 노력 없이 자동으로 표현된다는 것이다.

4. 가정은 방어기제가 허물어지는 곳이다.

방어기제는 불안과 두려움을 느낄 때 우리에게 유익을 준다. 대표적인 방어기제는 억압이며 억제이다. 가정이나 가족들과 함께 있을 때는 방어기제 자동으로 해제되는 곳이기에 화 또는 짜증을 많이 낸다고 할 수 있다. 

5. 상처 입은 내면 아동이 사는 곳이기 때문이다.

심리학자 휴즈 미실다인은 ‘당신의 과거 내면 아이’라는 저서에서 “결혼은 두 사람이 하는 것이 아니라 4사람이 한다”라고 말했다. 성인 두 사람과 내면 아이 두 사람이 산다는 것이다. 산다는 말보다는 주인이 되어 삶을 난장판으로 만든다는 표현이 더 맞을지도 모른다. 내면에 있는 아이가 건강하다면 좋지만 내면 아이가 울고 있다면 그 울음은 분노와 짜증으로 표현되어 건강한 가정생활을 파괴하는 주범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부부싸움은 내면 아이들끼리 작은 일에 속이 상해서 했는데 화해는 성인이 하려고 하니 자존심이 상해서 할 수가 없는 것이다. 결혼 이후에 우리 속에 있는 내면 아이는 강력하다. 성인이라는 껍데기 속에서 결혼 전까지 숨죽이고 착함과 모범생으로 움츠리며 존재해 왔을지도 모른다. 아마도 존재한다기보다는 왕성하게 살아있다라는 말이 더 좋은 표현일 것이다. 부모가 되었을 때 내면 아이는 가정에서 분노와 짜증으로 거침없이 표현하게 된다. 내면 아이를 건강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가정이 건강하고 행복해지며 자녀 양육이 올바르게 될 수 있다. 내면 아이가 아이를 양육한다고 생각해보라. 애가 애를 키운다고 생각해보라. 어떤 일이 일어날 것 같은가?

6. 내면의 상처 때문이다.

이 세상에 상처 없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단지 상처 없는 것처럼 살고 있을 뿐이다. 상처를 입을 때마다 상처받은 모습이 너무 싫고 초라하여 표현할 수 없기에 재빨리 싸매어 버린다. 누구도 상처 입은 것을 모른다. 치유하지 않는 상태에서 붕대나 반창고로 응급 처치를 하고 상처를 받지 않은 것처럼 행동한다. 하지만, 상처를 치유하지 않았기 때문에 싸매어 놓은 반창고 겉으로 고름이 새어 나오게 된다. 내면에 곪아 있는 상처는 대인관계에서나 사회생활에서는 잘 나오지 않는다. 나오려고 하면 임시방편으로 붕대를 더 많이 감고 표가 나지 않게 살아간다. 그런데 결혼을 하여 가정을 이루게 되면 사랑하는 배우자와 자녀들에게 상처에서 더러운 농들이 짜증과 분노 및 다양한 상한 감정으로 흘러나와 행복을 방해한다. 

분노를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치유 방법은 다양하다. 지면으로 설명이 어렵기에 간단하게 할 수 있는 것을 소개하고자 한다. 

1. 화날 일인가, 화낼 만한 일인가를 생각해 보자.

화날 일은 너무나 많다. 하지만 화낼 만한 일은 그렇게 많지 않다.

2. 만약에 화낼 만한 일이라면 I-message(나 전달법) 로 표현하라.

3. 화낼 만한 상황인데 화를 낼 수 없는 상황이라면  time-out을 선언하고 개인적인 시간을 가져보라.

이상열 목사

<경주벧엘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