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일저일 생각하니] 국보 설성경 박사 연구로 만든 영주 이몽룡 둘레길

Google+ LinkedIn Katalk +

짚신문학회는 지난 6월 4일 영주시로 문학기행을 가서 소수서원, 선비촌, 금성단, 부석사, 이몽룡 둘레길, 무섬전통마을을 견학하고 귀가했다. 춘향전의 이몽룡은 실존인물 성이성이라 한다. 연세대 명예교수 설성경 박사가 작자 연대 미상의 한국의 고전소설 춘향전 연구에 몰두하여 2000년도에 연세대 출판부가 펴낸 ‘춘향예술의 역사적 연구’에서 춘향전의 저자는 남원 출신 남원부사 조경남(1570-1641) 선비로 밝혔다. 

2001년도 서울대 출판부에서 발행한 ‘춘향전의 비밀’에서 책표지에 작자 조경남 역주 설성경으로 기록하여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조경남 뒤에 남원부사 성안의 부사가 부임하여 자기보다 선임 남원부사인 조경남에게 아들 성이성(1595. 선조 28-1664, 현종 5)을 맡겨 교육을 받게 했다. 의리와 신념이 투철한 총각 성이성 제자를 춘향전의 주인공 이몽룡으로 설정하고 조경남 자신은 춘향역으로 소설을 썼다. 산서 조경남의 스승은 임진왜란 때 의병장을 지내며 순국한 조헌(1544-1592) 선생이다. 조규남 자신도 남원 중심의 의병활동을 했다. 춘향전 이몽룡(성이성)은 호남암행어사로 탐관오리 변학도를 봉고파직을 시켰다. 계서 성이성(이몽룡)은 봉화 외가에서 태어나고 그가 공부한 집은 계서정으로 영주시 이산면 신암리 942번지에 서 있다. 계서정 앞에 조경남 스승과 성이성 제자의 관계와 생애가 돌병풍에 새겨져 있다. 성이성이 공부하던 집 계서정에서 성이성 무덤까지 1.2㎞ 산길을 영주시는 이몽룡 둘레길로 만들었다. 산길의 정상쯤에 순국시인 윤동주(1917-1945)가 ‘서시’, ‘별헤는 밤’과 함께 1941년 11월 29일에 창작한 주지시 ‘간(肝)’ 목비가 서 있다. 돌비로 크게 서야 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간’의 시는 조경남의 춘향정신과 윤동주 시 ‘간’의 핵심시어의 중첩된 의미를 보여준다. 목비에 기록된 ‘간’시를 살펴보자 -바닷가 햇빛 바른 바위 위에/ 습한 간(태극기/일편단심)을 펴서 말리우자//코카사쓰 산중에서 도망해온 토끼처럼/둘러리를 빙빙 돌며 간(태극기/일편단심)을 직히자//내가 오래 기르는 여윈 독수리(구세주/이어사)야!/와서 뜨더 먹어라 시름없이//너는 살찌고/나는 야위어 가야지 그러나//거북(일제/변부사)이야!/다시는 용궁의 유혹에 않떠러진다//프로메디어쓰 불쌍한 프로메디어쓰(일제/변부사)/불(국권/춘향의 정절) 도적한 죄로 목에 맷돌을 달고/끝없이 침전하는 프로메데어쓰(일제/변부사) 윤동주는 이 ‘간’이란 시를 연희전문 마지막 졸업 작품으로 썼다. 기존 평론가들이 ‘간’을 난해시로 보고 프로메테우스가 불 훔쳐 인간에 전한 시어풀이가 대체적인 평론이다. 그러나 설성경 박사는 “윤동주의 ‘간(肝)’에 형성된 ‘푸로메드어쓰’연구(1913, 새문사 발행) 평론저서에서 ‘간’은 풍자적 저항시로 부른 대한독립의 노래”로 평가했다. 그런데 영주의 이몽룡 둘레길에서 목비에 기록된 윤동주의 ‘간’은 일제 저항시로 춘향전을 통한 조경남의 정의, 자유의 애국정신과 상통하는 시작품이다. 

윤동주 시의 원본에 입각하여 프로메데어쓰 핵심 시어가 일본제국주의를 상징하고 대표적인 고전소설 춘향전 속의 색마 악인 변학도에 비유되는 함축미를 천착하여 고전과 현대문학을 아우르는 그 깊고 적확한 비평의식은 높이 평가하지 않을 수 없다. 윤동주의 ‘간’ 목비 앞에서 우리는 도산 안창호 선생이 지은 애국가를 4절까지 불렀다. 찾아본 성이성(이몽룡) 무덤 비석에는 부제학 벼슬이 추증되어 있다. 영주시는 국보 설성경 박사의 깊은 연구로 알게된 춘향전 주인공 이몽룡의 실존인물 성이성을 크게 부각시켜 이몽룡 둘레길을 확장하고 조경남의 춘향정신, 윤동주의 순국정신이 크게 빛나는 선비문화의 으뜸 고을로 발전시켜 주길 바란다.

오동춘 장로

<화성교회 원로, 문학박사, 시인>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