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후반의 여인이었다. 그는 시골에서 농사를 짓다가 너무 힘에 부쳐서 세 아이와 함께 서울로 왔다. 그렇게 시작한 서울살이가 너무 힘겨웠다. 20년이 넘게 남의 집 돕는 것으로 집안을 이끌어 오고 있다.
억척스레 일했다. 아이들을 학교를 보내고 뒷바라지하느라 손발이 모두 갈라지고, 피가 나면 반창고를 붙여가며 청소나 식당 등 궂은일을 다했다. 그러는 동안 남편은 변변한 수입도 없었다. 아내한테 손 벌려 담뱃값도 술값도 뜯어 갔다. 원망도 하고 싸움도 했지만, 별수가 없었다.
아이들은 자라서 나름대로 자립을 했다. 그런데 남편이 그만 쓰러져서 움직이지도 못하고 누워있게 되었다. 종일 일 나간 아내만 기다리고 있다.
아줌마는 요즘 이런 남편이라도 있는 게 얼마나 감사한지 모르겠다고 한다. 아침에 밥 차려 머리맡에 놓고 나오면, 요양보호사가 와서 밥 먹이고 간다. 움직이지 못하니까 어두워지면 누워서 전깃불을 켤 수 있도록 긴 줄을 달아놓고 나온다. 깜깜해진 후에 돌아가도 집에 환히 불이 켜져 있어 좋다.
“여보, 나 왔어. 잘 있었어? 밥은 먹었어?” 그러면 남편은 아기가 되어 빙그레 웃으며 “왔어?” 하며 맞아준다. 아줌마는 그렇게라도 자기를 반겨주는 남편이 고맙다. “이렇게 살아 있어 줘서 고마워.”
젊었을 때 그렇게 속 썩이고 제멋대로였던 남편이었지만 아이들 다 떠나고 둘만 남은 지금 이렇게라도 함께 할 수 있는 것이 무척 고맙다고 했다.
남편이 힘들게 할 땐 정말 원수같이 미웠는데 오히려 지금은 측은하고 귀하게 여겨지고 사랑스럽다. 남편의 마음이 아마 순해져서 그런가 보다. 많은 부부가 심한 갈등을 겪다가도 한순간에 풀어지는 것을 많이 보았다.
한집에서 남남처럼 말도 안 섞고 지내다가도 단 한 번의 강의를 듣고, 사이가 좋아진 경우도 많다. 사네 못사네 하다가 결혼 교과서 ‘아침 키스가 연봉을 높인다’를 읽고 나서 달라진 가정도 있다. 정말이지 부부란 게 참으로 묘하다. 그렇게 원수처럼 한 순간도 보고 싶지 않았는데 사이가 좋아지면 언제 그랬느냐는 듯 살아가는 것이다.
지금 갈등하고 있는 문제가 무엇인가? 자기 의견은 좀 버리고 상대방의 마음에 가만히 귀를 기울여 보자. 그러면 상대방의 마음이 보일 것이다. 그 마음을 어루만져 주자. 그리고 위로와 사랑의 멘트를 해보자. 병들어 아무것도 해줄 수 없을 때 아내에게 고맙다고 말할 것이 아니다. 건강할 때 표현하자. 아내를 향한 배려는 결국은 자기를 위한 최대의 배려가 된다. 살아 있을 때가 기회다. 배우자가 내 곁을 떠난 후 한결같은 회한은 사랑하는 사람을 위해 더 이상 아무것도 해줄 수 없다는 슬픔이다. 배우자가 살아 있음에 감사하고 감사하자. 그리고 사랑을 표현해보자. 끈끈한 가족 간의 유대감은 장수의 요인이다.
두상달 장로
• 국내1호 부부 강사
• 사)가정문화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