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GO] 월드비전, 돌봄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포럼

Google+ LinkedIn Katalk +

사각지대 없는 복지 울타리 희망

사진제공=월드비전

월드비전(회장 조명환)은 지난 2월 6일 국회의원회관에서 돌봄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포럼은 돌봄 청소년에 대한 실효성 있는 지원을 위한 체계적 지원 체계 구축 및 법 개정과 정책 마련을 위해 월드비전과 김미애 국회의원, 김남희 국회의원, 연세대학교 복지국가연구센터가 공동주최했다.

김미애 국회의원은 “2023년 기준 가족돌봄청년이 약 10만 명, 자립준비청년이 약 1만 명에 달하지만, 국가 차원의 정책지원 대상 정의 및 실질적 지원내용과 지원 체계를 규정한 법적근거는 아직 부재한 상황”이라며, “위기청년 전담 안전망 구축부터 건강한 사회참여를 지원할 수 있는 실체적 지원 기반을 마련하고자 이번 포럼을 주최하게 됐다”고 했다.

김남희 국회의원은 “돌봄 아동·청소년·청년은 가족 구성원을 돌보거나 생계활동을 하면서 학업과 진로에서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고, 이러한 어려움은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번 포럼을 통해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무를 명확히 하고, 종합적·체계적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고 했다.

포럼은 ‘돌봄 청소년 맞춤형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결과 발표와 ‘돌봄 아동·청소년 맞춤형 지원을 위한 제도 개선 방안’ 마련을 위한 패널 토론으로 진행했다.

월드비전의 ‘돌봄 청소년 맞춤형 지원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는 가족돌봄청소년 통합지원사업에 참여한 1천117명의 설문조사와 15명의 심층면접 분석이 포함됐다. 이는 2022년 정부 실태조사 이후 처음이며 청년기 이전의 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가장 포괄적인 조사로, “돌봄이 아동기부터 시작돼 장기화되는 경우가 많아 국가의 조기 개입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서 민법상 ‘가족’으로 정의되지 않는 친족을 돌보고 있어 지원대상에서 제외됐던 청소년들도 지원대상에 포함되도록 ‘가족돌봄’이라는 표현을 지양하고, ‘돌봄 청소년’이라는 용어 사용을 제안했다.

패널토론은 월드비전 남상은 실장 좌장으로, 경기대학교 민소영 교수(사회복지학과), 보건복지부 청년정책 장영진 팀장, 광구광역시사회서비스원 정책연구실 허준기 연구원, 돌봄청년커뮤니티 n인분 조기현 대표가 패널로 참여해 장기적이고 실효성 있는 법 제정 및 정책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조명환 월드비전 회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국회와 정부에 법안과 정책을 제언함으로써 촘촘한 지원 체계 수립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며, “우리의 미래인 아동·청소년이 사각지대 없는 복지 울타리 안에서 희망차게 성장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 NGO가 지속적으로 협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