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마드톡] 왜 나는 새로운 교회를 말하는가?

Google+ LinkedIn Katalk +

교회가 위기다. 교회 스스로 위기를 자초했으니 그 책임은 전적으로 교회와 목회자에게 있다. 어떤 이는 내 말에 동의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조금만 교회를 돌아보면 그것이 우리의 현실임을 인정할 것이다.

역사적으로 교회는 반복적으로 위기를 맞이했고 그때마다 위기를 넘어서는 결단을 통해 성숙하고 성장했다. 교회는 살아있는 생명체다. 생명은 아프다가 회복되고 그러다 또 고통을 당하는 상황에 봉착한다. 올라가고 내려가는 반복된 역사의 법칙에서 교회도 예외일 수 없다.

그 위기가 지금 한국교회에 찾아왔다. 한국교회 140주년이 되는 2025년에 말이다. 1885년 부활절 아침 인천에 도착한 언더우드와 아펜젤러의 선교 이후 지금까지 여러 번의 위기가 있었지만 질적인 면에 있어 지금의 위기와는 차원이 달랐다. 그때는 일제 강점이 시작되기 직전이었으며 위기는 교회가 자초한 것이 아니었다. 

1919년 3.1 운동에 앞장서는 민족교회로서의 모습은 세계 교회사에서도 매우 특별했다. 교회와 민족의 운명이 이렇게 신앙고백적으로 일치할 수 있었다는 것은 교회가 고통받는 민족의 편에 서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 사례다. 그러나 3.1운동 이후 교회는 갈라지는 운명을 맞이한다. 현실의 문제에서 벗어나 피안의 하나님 나라를 바라보는 신비주의 신앙으로 또 하나는 일제의 교회 탄압에 굴복해 신사참배와 친일교회로 그리고 소수의 독립운동에 헌신하려 한반도를 떠난 기독교인들까지 여러 곳으로 흩어졌다. 일제에서의 교회의 처신은 결국 교회의 분열로 이어졌고 해방 이후 그 양상은 진보니 보수니 하는 신학적 논쟁과 교권을 두고 벌어진 다툼의 결과로 교회가 분열되었다. 

그리고 교회는 미래를 준비하는 새로운 길을 찾아갈 때가 되었다. 이념과 정치권력을 따라갈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님 나라를 향한 선교적 교회로서의 길을 가야 한다. 교회의 위기를 여기서 극복하지 못한다면 우리 교회는 종말을 고할 것이다. 마치 유럽을 비롯한 선진국의 교회들처럼 말이다. 아직 교회의 그루터기는 남아 있다. 그루터기가 될 마지막 남은 자들을 모으려 한다. 그래서 교회는 여전히 존재해야 할 하나님 나라의 마지막 공동체임을 보여주고 싶다.

건강하고 성숙한 교회의 모델을 찾고 그들을 소개하고 싶다. 작아도 강한 교회, 작지만 결코 약하지 않은 교회, 큰 것보다 작은 것이 더 좋다는 열등감 없는 교회가 그것이다. 생명 목회, 생태적 선교, 참 자유함을 보여주는 교회, 진리와 정의가 이기는 교회의 모델이 그리운 시대다. 통일 선교와 이주민 등 사회적 약자들이 중요한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라고 가르쳐 주는 교회가 시대정신을 담아내는 교회라 믿는다. 대안적 교회가 되어야 한다. 새로운 길을 다양성이라는 거대한 흐름에서 읽어내는 목회자가 필요하다. 청년을 비롯한 가나안 교인들에게 다가서는 열린 생각을 가진 교회가 되어야 한다. 과감하게 과거의 관습에서 벗어나고 미래 교회의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교회를 찾아야 한다.

어딘가에 그런 교회가 있다. 누군가 그런 목회를 하고 있다. 드러나지 않지만 조용히 대안을 찾아가는 고수가 있다. 목소리는 내지 않아도 그들이 살아있음을 느낀다. 그들을 만나고 싶다. 그래서 교회가 죽지 않았다고, 오히려 위기 속에서 그들이 희망이라고 소리치고 싶다.

유해근 목사

<(사)나섬공동체 대표>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