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는 다 흥미롭다는 말이 있다. 여기에는 승자와 패자가 쉽게 갈리는 뻔한 승부도 그 의미를 곱씹어 볼만 하다는 뜻이 담겨 있다. 이럴 경우 민심이 무섭다는 말이 항상 따라붙게 마련이다.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는 선거의 흥미진진함은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 같다. 지난달 펼쳐진 2020 미국대선은 근래 보기 드문 진검승부였다. 눈을 잠시 돌리면 승부의 추가 다른 축으로 가 있곤 해서 개표 통계에서 눈을 떼기가 힘들었다. 분열된 미국을 생각하다가 트럼프의 역전이 치고 들어왔고 하루 지나고 나서 결국은 바이든의 승리로 결론을 냈다. 그러나 네바다와 조지아 등 막판 스윙스테이트의 최종 결론이 나지 않은 상태여서 트럼프로부터 불의의 습격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조마조마함이 완전히 가시지 않기도 했다.
트럼프의 역전극이 한창 펼쳐질 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먹고사는 문제가 코로나19를 이겼다는 분석도 나오긴 했다. 트럼프가 내걸었던 아메리카 퍼스트와 경제살리기, 일자리 창출 등의 구호가 그의 폭정과 코로나19 방역 실패를 밀어냈다는 분석이다.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먹고사는 문제가 선거의 가장 중요한 이슈라는 것은 상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미국인들은 결국 바이든을 선택했다. 다른 나라 눈으로 무척 괴상해 보이는 승자독식 룰에 따라 기어이 대통령을 바꿔버렸다. 트럼프는 도저히 안된다는 표심이 모든 걸 눌러 버릴 만큼 강했다고 여겨진다. 트럼프의 퇴장은 상식의 복귀, 정치의 정상화로 보는 시각도 꽤 있는 것 같다.
이번 대선 투표율은 1990년대 이후 최고치인 66.9%를 기록했으며 전체 유권자 2억 4000만 명 중 1억 6000만 명이 투표장으로 나온 것이다. 결국 트럼프를 참을 수 없다는 사람들이 다 뛰쳐 나왔고 반대로 여기에 맞서는 친 트럼프 표도 다 결집했다고 봐야 한다. 바이든과 트럼프가 모두 역사적인 투표로 1, 2위를 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고령인데다 이렇다 할 개인적인 매력을 찾아보기 힘든 바이든은 이런 반(反) 트럼프 민심을 타고 승리를 잡았다. 어찌보면 민심의 역풍을 뚫고 바이든을 근사치로 따라잡은 트럼프의 개인기가 더 돋보이기도 한다. 바이든이 최종 승자가 되더라도 앞으로 분열을 치유하고 미국을 다시 통합해 내려면 트럼프를 갈구하던 민심 역시 품어야 하는데 만만치 않은 과제로 보인다. 미국대선 개표과정을 시내 한 식당에서 장로들과 tv로 지켜봤다. 우리 테이블이나 주변 테이블 모두 결국 화제는 2022년 한국의 대선으로 흘렀다. 미국대선처럼 저렇게 흥미진진한 선거가 좋은 것이냐 나쁜 것이냐 누군가 묻자 다들 묘한 표정을 지었다. 2022년 뻔한 승부가 나야 한다는 것인지 생각들이 복잡해 보였다. 확실해 보이는 건 미국과 같은 분열상이 지속되면 우리도 투표장으로 몰려 나오는 사람이 엄청 많아질 것이라는 점이다. 우리의 분노는 어디를 향할지 그때 민심의 저변에는 뭔가 흐르고 있을지 사뭇 궁금해진다. 앞으로 대한민국은 지금까지 지켜본대로 우리 최고의 가치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 경제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여 번영의 나라를 이룩해 나가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