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리더] 詩(시)의 매력愛(애) 흠뻑 빠지다

Google+ LinkedIn Katalk +

문화와 예술을 접한다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이다. 그중에도 시(詩)는 정말 매력적이다. 종종 시인들이 보내온 시집을 종종 읽는다. 최근 받은 《엄마의 버스정류장》 조기봉 시인, 《꽃을 보듯 너를 본다》 나태주 시인, 《산을 옮기다》 이도윤 시인, 《샤걀의 피안없는 시간》 양희진 시인, 《날마다 한강을 건너는 이유》 지영환 시인, 《당신의 언어》 오경화 시인, 《어쩌자고 꽃》 은월 김혜숙 시인 등 시인들의 시를 읽다보면 시의 매력에 흠뻑 빠지게 된다.

공원에서, 시민들의 산책길에서, 지하철역에서 만나는 시도 그 중 하나다. 누군가를 기다리는 동안 만나게 되는 시 한 편. 길지 않아서 좋고, 어렵지 않아서 좋다. 그래서 소설보다 마음에 오래 남는 시가 더 좋은 것 같다.

시는 무엇인가. 어떤 모양으로 나타나야 하나. 시는 일상의 삶을 유지하는 양식이자 영혼에 산소와 같다. 언어의 연금술 같은 시어(詩語)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다. 시는 그 어떤 수식도, 치장도 필요하지 않다. 아이들의 등굣길에서, 시민들의 즐기는 시의 언어가 좋다. 시를 쓴다는 것은 자기가 자기 자신을 사랑하고 타인을 사랑하는 법(法)이다. 늘 사람을 사랑하고 울고, 예뻐해주는 방식이 ‘시(詩)’이다. 시를 쓰는 시인이나 읽는 독자나 시로 인하여 마음과 영혼이 깨끗해지고 사랑하게 되며 아름다워지는 것이다.

시를 잊은 그대에게 시를 권한다. 썼다 지웠다, 썼다 지웠다를 무한 반복하는 오늘, 그대에게 막힘없는 나만의 글쓰기, 시 쓰기를 권한다. 쓰는 것이 어렵다면 시 한수를 낭송해 보길 추천한다. 또 봄의 정원엔 꽃을 심지만 마음의 정원엔 시를 심어보면 어떨까. 시는 누구와 나누어도 좋다. 시를 읽으면 시를 소유할 수 있어 좋고, 편안하게 시를 읊을 때면 시의 맛을 함께 나눌 수 있어 좋다. 

시인은 시인의 맛이 나야 한다. 시에는 그런 맛이 묻어난다. 시는 그래야 하는 거 아닐까. 한 편의 시처럼 살고 싶고, 아름다운 나무처럼 살고 싶어 호(號)를 ‘미목’이라고 지어 보았다. 시는 읽는 순간, 찰나를 붙잡는다. 시를 읽고 있으면 시간이 멈춘 듯하고 영원 속에 있는 것 같다. 시는 세월이 지나도 마음에 오래 남는다. 시는 그렇게 편하게 읽다가 가슴을 서늘하게 하는 그 뭔가를 지녀야 한다. 시는 일종의 ‘놀람’, ‘발견’, ‘깨달음’이라고 표현하고 싶다. 이런 시를 ‘정신이 번쩍 들게 하는 시’라고 말하고 싶다. 

청록파 시인들이 한국문학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주목받는 이유는 일제 강점기가 막을 내리면서 온통 정치 열기로 뜨겁게 달아오른 시대 배경 속에서 정치색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 이들의 작품이 오히려 대중의 감수성을 건드린 것이다. 사람들은 골치 아픈 ‘정치’보다는 서정시에서 뜻밖의 따뜻한 안식과 위로를 찾은 것이다. 시끄러운 정치현실에서 빠져나오고 싶은 욕구를 절실히 느낀 그 시대에 『청록집』이 내세운 자연의 발견은 신선한 출구로 작용했다.

시집 《어느 바람(고은)》 중에서 한 구절이 생각난다. “내려갈 때 보았네/ 올라갈 때 보지 못한/ 그 꽃” 이란 구절이 나오는데, 인생 2막에 보았다. 인생 1막에 보지 못한 그 꽃을 나는 ‘문화 예술’이라 칭하고 싶다. 사실 문화 예술 그리 어렵지 않다. 문화 예술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문화 예술 도시를 상상하면서 이런 고백을 듣고 싶다. “눈빛이 따뜻하고 품이 넓어졌어요”, “예술을 만난 삶, 나이듦이 두렵지 않아요”, “봄꽃 한 송이보다 시 한 수가 더 좋아졌어요”, “책 한 권에 나의 삶의 한 장면, 한사람의 일생이 들어 있더군요”, “문학과 예술이 만나고, 사람과 사람이 만나니 마을에 놀라운 변화가 생겼어요” 이런 문화시민들의 노래가 듣고 싶다.

이효상 목사 (다산문화예술진흥원 원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