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인 목회자를 세우는 신학교육 한인 선교사들이 신학교 사역을 통해 현지인을 훈련하기 시작한 것은 Explo ’74 이후 인도네시아에 파송된 선교사들에 의해서이다.…
이슬람과 한국교회
UN 세계인권선언의 성경적 기준과 전혀 다르다 김윤석 선교사는 1972년 입국해 수마트라의 방카섬에서 오랜 기간 사역했으며 초등학교, 중학교를 세우는 교육선교를 했고…
장신대 박창환 학장의 인도네시아 선교 전개 1816년에 영국으로부터 인도네시아를 되돌려 받은 네덜란드는 식민지 경영권을 동인도회사로부터 식민 정부로 이관시켰다. 이때 왕인…
유럽인의 권위 무시한 Coolen의 선교 한국 통합총회는 인도네시아를 위해 1971년 9월에 장신대 신약학 교수인 박창환·현수삼 선교사 부부를 최초로 파송했다. 당시…
초창기 인도네시아 Emde의 토착 선교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에서 최대의 이슬람 국가이기도 하지만 필리핀을 제외하면 가장 많은 기독교인의 나라이기도 하다. 2억 2천만…
로마 천주교와 기독교의 비교 인도네시아의 선교는 로마 천주교가 기독교보다 앞선 역사를 가지고 있다. 최초로 인도네시아에 복음이 전해진 것은 671-679년 사이에…
동티모르에 대한 침공 · 강압 정책 1967년 3월 11일 수카르노로부터 행정권을 이어받은 수하르토는 1945년 헌법과 건국이념인 빤짜실라를 기반으로 하는 신정치…
독립 투쟁과 인도네시아 공화국 시대 일본 식민지 정부는 네덜란드의 실패를 거울삼아서 초기 정책 실패를 청산하고 인도네시아인들에게 광범위하게 식민지 정부에 참여할…
일본도 그 뒤 이어 배척 대상으로 인식 1941년 일본이 진주만과 홍콩, 말레이반도를 공격하자 네덜란드는 동맹국과 합세하여 일본에 대항했다. 그러나 1942년에는…
십자가의 복음 전하는 게 선교의 본질 선교사나 목사나 하나님의 종으로 부름을 받은 사명자의 가장 중요한 임무가 뭘까? 두말할 것도 없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