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씨’는 ‘이모님’이신가요 이 원고를 쓰고 있는데, 소설가 한강 씨가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는 뉴스가 떴다. 한국인이 한국어로 쓴 소설이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니 이…
문학산책
대화는 소통의 요건이다. 언어나 기호 따위가 없다면 소통에 큰 지장을 일으킬 수밖에 없다. 한국인이 쓰는 한국어는 한자어와 한글로 구성되어 있다.…
6.25때 북으로 끌려가다 “나는, 나라도 민족을 위해 일본놈들한테 붙어야겠다고 생각했다. 지금에 와서는 변명할 수 없다. 내가 지은 업보는 내가 감당할거다”(유재원…
허영숙 여사•막내 이정화 교수와의 인터뷰 내가 작가 이광수의 부인 허정숙(許英肅) 여사를 인터뷰한 것은 1970년 전후였다. 효자동 집으로 찾아간 날, 마침…
‘민족개조론’과 ‘조선야소교회의 결점’ 작가 춘원(春園) 이광수(李光洙)의 인생 여정은 복잡다단했다. 파란만장했던 그의 생애의 원형이랄 수 있는 시대관, 종교관과 가족관계를 간추려 적시(摘示)한다. …
“나는 장인(匠人)이 아니고 사제(司祭)다” 구상 시인의 첫 시집 <具常>의 ‘自序’ 말미에서 시집 출간이 두 차례나 중단되는 사건을 암시하고 있다. 출판계약으로…
은혜로운 한국어 “사철에 봄바람~” 내가 소설가 전영택 목사를 처음 뵌 것은 ’60년대 초 종로2가 기독교서회 지하다방에서였다. 전영택 목사는 1968년 1월…
일본천황에게 충성문 강요받자 절필 청년 전영택은 18세에 일본으로 유학 靑山학원 신학부(감리교계)를 졸업하고 귀국해 목사안수를 받았다. 1919년 3월 1일 동경유학중 유학생…
어느 유대인의 유언 히틀러의 나치 정권은 독일 국민의 지지(支持)하에 유대인 600여만 명을 절멸시켰다. 반(反)유대주의로 실시한 홀로코스트 즉 유대인 멸종(滅種) 계략에…
개화기의 사회운동과 신앙 남궁억 선생이 작사한 ‘삼천리 금수강산’은 우리 찬송가 책에 수록되어 널리 불리우는 애창곡이다. 개화기인 1907년에 작사한 이 가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