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창] “노년의 행복”

Google+ LinkedIn Katalk +

내 주변에 가까운 한 친구가 있다. 그는 올해 70대 후반으로 노년기에 들어와 있다. 30년 넘게 직장생활을 했고 60대 은퇴 후에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었고 건강에도 자신이 있어 어지간한 몸의 불편은 대수롭지 않게 넘겼다. 동창뿐 아니라 직장생활 등으로 맺어진 인맥도 살아있었고 이런저런 모임도 심심치 않게 있어서 나름대로 활기 있는 노후 생활을 즐겼다. 그러나 70대로 들어서자 건강에 문제가 조금씩 나타나면서 그의 생활도 달라졌다. 쾌활과 낙천은 슬금슬금 어디로 도망가고 부정과 불안이 반쯤 망가진 팔랑개비처럼 마음속을 맴돌았다.

그래서 여기저기 증상이 생길 때마다 이 병원에서 저 병원으로 순례가 시작되었다. 배가 이유 없이 더부룩하다, 생배앓이가 잦다, 이쪽 관절이 쑤신다, 저쪽은 뻣뻣하다, 어깨가 시리다, 눈이 자주 흐릿해지고 웬 거미줄이 어른거린다, 가는 귀가 먹는 것 같더니만 조수미 노래같은 고음이 짜증나게 들린다, 쉬아가 어쩌구 저쩌구 등등 다양한 호소를 쏟아냈다. 특별한 이상은 잡히지 않는데 검사만 늘어간다. 평생 병원 신세 안 질 것 같던 자신감은 사라져가고 사소한 신체 문제도 죄다 질병으로 여기며 병원의존형 사람이 됐다. 이를 새로운 사회적 용어로 ‘메디컬리제이션(medicalization)’이라고 일컫는다. 노령화 진입 초기에 흔히 볼 수 있는 심리적 현상이고 고령화 시대에 일반화 된 사회적 현상이다. 나이가 들면 호흡에 쓰는 근육과 횡격막이 약해진다. 허파꽈리와 폐 안의 모세혈관도 줄어간다. 가만히 있어도 예전보다 산소가 흡수되어 평소보다 움직임이 조금만 더 크거나 빨라지면 숨이 찬다. 이건 질병이 아니다. 체내 산소량에 적응하면서 운동량을 조금씩만 늘려가도 숨찬 증세는 개선된다. 같은 이유로 기침도 약해진다. 미세먼지 많은 날 기침이 자주 나온다는 호소는 되레 청신호다.

기침은 폐에 들어온 세균이나 이물질을 밖으로 튕겨 내보내는 청소효과가 있는데 그런 기침이 있다는 것은 호흡근육이 제대로 살아 있다는 의미이다. 만성적 기침이 아니라면 병원을 찾을 이유가 없다. 고령에 위장은 움직임이 더디고 오래된 속옷 고무줄처럼 탄성도 줄어서 음식이 조금만 많이 들어와도 금세 부대낀다. 담즙 생산이 줄어 십이지장은 일감을 처리할 연료보다 모자란 셈이니 기름진 고기의 소화가 어렵다. 젖당분해 효소도 덜 생산돼 과한 유제품 섭취는 설사로 바로 이어진다. 대장은 느릿하게 굼떠져 식이섬유를 섭취해도 변비가 오기 쉽다. 이런 불편들은 고령 친화적 생활습관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위가 더부룩하면 연한 음식과 소식으로 습관을 바꿔나가면 된다. 또한 고령의 상실감이나 서운함이 몰려올 때도 있다. 그러나 이런 증상들은 마음먹기에 따라 병이 되기도 하고 아니 되기도 한다. 따라서 사고(思考)의 전환이 권장되지 치료가 꼭 필요한게 아니다. 늙어가는 것과 아픈 것은 비슷해도 다른 것이다. 타인에게 서운한 마음이 있더라도 그 책임은 나의 몫이라고 생각하자. 하나님이 주신 꿈을 찾아 섬기고 나누며 베풀면서 열심히 행복하고 즐겁게 살아갑시다.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