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광장] 코로나19의 교훈 <2>

Google+ LinkedIn Katalk +

우리 삶에서 정말 가치있는 것이 무엇일까? 무엇이 중요하고 본질적인 것이며 무엇이 비본질적인 것일까? 우리는 평소에는 잘 깨닫지 못하다가 정작 잃어버리고 나서야 비로소 그 중요성과 소중함을 발견하게 되는 것들이 많이 있다.
코로나19는 우리의 일상생활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다. 예전에는 가끔씩 일상의 지루함이 느껴질 때면 가벼운 옷차림으로 훌쩍 떠나 강릉이나 속초의 해안가에서 바닷바람을 쐬고 돌아오는 것이 작은 즐거움이었다. 그리고 일 년에 한두 번씩 떠나는 해외여행은 부자가 아니라도 누릴 수 있는 괜찮은 작은 사치이기도 했다.
정년퇴직 이후에는 자연히 마음에 맞는 친구들과 운동을 하거나 식사를 함께 하면서 담소를 즐기는 여유가 너무나 당연한 일과였다. 카페와 식당은 늘 우리들 바로 곁에 있고 언제나 마음내키는 대로 갈 수 있는 곳이었다. 그런데 코로나19로 하루아침에 이 모든 일상의 당연한 것들을 빼앗긴 지금에야 비로소 그것들이 우리의 삶에서 얼마나 소중한 것인지를 깨닫게 된다.
어디든지 마음대로 여행할 수 있는 자유로움과 친구들과 만나서 함께 식사를 하는 즐거움, 그리고 또한 웃고 담소하고 서로 따뜻한 마음을 나누는 소소한 행복감이 우리 생활에서 이렇게 소중한 것이었는지 미처 알지 못했던 것 같다.

필자는 원래 사람을 사귀고 어울리고 함께 하는 것을 즐기기 보다는 혼자 있는 것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그래서 코로나19 이전에는 낯선 사람을 만나는 것이 어색하고 불편한 경우가 많았던 것 같다. 그러나 이제는 무엇보다도 사람과의 친밀한 만남이 그립고 사람의 향기가 그립다. 낯선 사람도 오히려 반가워질만큼 성격도 변했다고나 할까.
사람은 사회적 존재라는 평범한 진리가 코로나19가 일깨워 준 가장 큰 깨달음이 아닐까 한다. 따져보면 우리는 문명세계 안에서 타인들과 함께 하지 않으면 단 하루도 생존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나’라는 개인의 정체성도 타인과의 관계에서만 찾아질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어떤 사람인가를 묘사하는 모든 개념들은 다 상대적인 것이다. 내가 내향적인 성격이라고 하면 외향적인 사람에 비교해서 그렇다는 말일 것이다. 키가 크다는 것은 키가 작은 사람에 비교해서 그런 것이다. 빈부, 아름다움과 추함, 심지어 정치적인 진보와 보수도 다 상대적인 것이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비로소 나의 존재가 정립될 뿐 아니라 타인과의 좋은 관계 속에서 비로소 우리는 행복감을 느낀다. 상대가 있기에 내가 존재한다는 깊은 유대감이 우리를 기쁨과 행복으로 이끈다.
타인에 대한 우리의 판단은 서로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면 원만한 인간관계가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내가 상대방을 싫어하는 원인이 상대방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나에게 있음을 깨닫게 되면 싫어할 이유가 없게 된다. 내가 싫어하는 사람도 누군가에게는 가장 사랑스러운 사람일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사람을 도덕적으로 비난한다. 그런데 세상에는 이기적인 행동이 결과적으로 공공의 이익이 되는 결과를 가져오는 경우가 종종 있음을 본다. 사람들이 마스크를 쓰거나 백신을 접종하는 것은 자신을 보호하려는 동기에서 시작하지만, 결과적으로 공동체를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자신을 보호하는 행동이 공동체를 보호하게 되고, 또 공동체를 보호하는 것이 개인을 보호하게 되는 초연결사회에 살고 있다는 깨달음이야말로 코로나19로부터 우리가 얻는 또 하나의 교훈이 아닐까 한다.

김완진 장로
• 서울대 명예교수
• 소망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