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의 교회가 가야 할 ‘새 길 찾기’라는 모임을 시작했다. 몇몇의 목회자들이 교단을 초월하여 모임을 가져보자는 이야기들이 있었고 그런 취지에 동의하는 목회자들이 모임을 결성했다. 과거의 패러다임으로 목회를 바라보거나 아직도 변화를 거부하는 것은 그 자체로 위기다. 지금 세상은 변하고 있고 교회는 그 한복판에서 변화에 부응하여야 할 책임이 있다. 코로나 이전과 이후의 교회는 전혀 달라져야 한다. 더 이상 모이는 교회가 아니라 흩어지는 교회로, 새로운 교회를 지향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목회자의 이중직을 포함하여 목회자의 목회에 대한 태도도 변화되어야 한다. 새 길 찾기에 참여하는 목회자들 중 상당수는 목회자의 이중직에 대하여 매우 수용적이며 오히려 당연한 것이라 생각한다. 더 이상 목회자가 교회 안에서 기존의 틀 안에만 머물다가는 큰 화를 당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갖고 있다.
나아가 청년들을 포함하여 교회 안에서 소외되고 차별받는 교인들에 대하여도 집중적으로 목회 하여야 한다. 우리는 모두 죄인일 뿐 어느 누구도 의인이라할 수 없다. 교회는 의인들의 모임이 아니라 죄인들의 공동체임을 인정한다면 어느 누구도 교회 안에서 차별과 혐오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더 이상 공간중심적일 수 없다. 교회는 공간으로서의 교회가 아니라 모임 그 자체로서 교회다. 공간을 갖고 교회의 이름을 매달아 교회임을 드러내는 시대는 지나갔다. 어느 곳이든 교인이기를 바라는 이들의 모임 자체가 교회다. 그곳이 레스토랑이든 혹은 지하의 골방이든 아니면 세상 사람들이 모여 떠드는 뒷골목의 허름한 곳도 교회일 수 있다.
그리고 교회는 공간을 나누고 공유하며 다양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세상이 다양하니 다양한 교회가 필요하며 그것은 당연한 것이다. 새 길 찾기 모임에서 나누려는 생각들은 한두 가지가 아니다. 그러나 가야할 길은 멀어 보인다. 여전히 기존의 교회는 새 길 찾기에 대하여 관심이 없는 것 같다. 결국 새 길 찾기도 목회자가 아닌 교인들이 만들어 내야 할 것 같다. 종교 수요자 즉 교인들이 새로운 교회에 대한 기준을 만들 필요가 있다. 교회와 목회자가 공급자라면 교인들은 소비자들이다. 세상은 이미 소비자 중심의 문화와 시스템으로 변하고 있다. 교회 또한 수요자 중심의 새로운 문화와 조직으로 바뀌어야 한다. 온라인 교회로의 진화는 그런 미래 교회에 대한 하나의 탈출구다. 유목민적 교회로의 변화가 바람직하다. 공급자 중심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세상이 바뀌어 가듯 교회도 그렇게 변하는 것이 맞을 것이다.
스마트 폰 하나로 세상은 바뀌었고 그것을 혁명이라고도 한다. 그런 혁명적 변화는 한국교회에도 몰려올 것이다. 혁명이 일어나기 전에 스스로 개혁하는 사람이 지혜롭다.
유해근 목사
<(사)나섬공동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