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순교 – 복음적 인간화의 실현

Google+ LinkedIn Katalk +

1950년 6월 25일 주일 새벽 북한의 공산군이 소련제 탱크를 앞세워 전면적인 남침을 단행했다. 불과 3일만인 6월 28일 서울이 함락되었다. 그리고 9월 28일 수복이 되는 그 순간까지 미처 피난가지 못한 기독교인들은 참혹한 현실과 마주해야 했다.
서울의 김예전 목사는 괴뢰군에게 잡히어 ‘이놈은 민족반역자요 딸을 미국놈에게 팔아먹은 자다’라는 흉악한 글을 가슴과 등에 부치고 결박된 채 사형장으로 끌려나가면서 가슴에 부친 글을 크게 읽으라고 강요당할 때마다 애끓는 음성으로 ‘오- 하나님이시어 젇들은 알지 못하여 이렇게 하오니 저들의 죄를 용서해 주옵소서. 저들은 나의 가장 사랑하는 동포들입니다. 주님이시어 저들의 마음에 성령을 보내시사 주님의 사랑을 밝히 깨닫게 하여 주시옵소서’라고 기도하였다. 그럴 때마다 무지한 괴뢰군은 총검으로 김 목사의 두부와 어깨를 나려쳐 선혈이 늠늠히 떨어졌다. 그러나 김목사는 정신이 돌아오면 또 다시 구슬픈 목소리로 전과 같은 기도를 총탄에 맞아 쓸어질 때까지 외쳤다. (김양선, “한국기독교해방십년사” 中)

한국전쟁 당시 공산주의자들에게 기독교인은 그 자체로 적으로 간주되었고, 인민재판의 대상이었다. 기독교인들에게 주어진 선택지는 살기 위해 신앙을 버리든지, 처형을 당하는 것이었다. 신앙을 지키려는 자들의 관심은 오롯이 자신의 신앙을 지킬 수 있는지였다. 그것은 단지 신앙을 지키는 것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박해자들에게 무저항으로 맞서야 하는 전제가 있었다. 그 결과가 죽음이라 해도 신앙을 저버려서는 안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예수 그리스도와 스데반처럼 박해자들을 위해 기도하는 것이 순교의 방식이었다.
기독교에서 순교는 세 가지의 조건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해석한다. 첫째는 육체적 생명이 끊어지고 참으로 죽어야 한다는 것, 둘째는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증거하는 진리에 대한 박해에 기인하는 것, 셋째는 죽음으로 자의적으로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조건들은 그리스도의 모범을 본받으려고 했던 초대교회 성도들의 모습 속에서 구체화되었다. 순교는 최소한 죽음과 박해, 자의성이라는 조건이 갖추어질 때 나타난다. 박해 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고 완전한 죽음에 이르는 것이 그리스도인이 할 수 있는 신앙의 최고봉이라고 여기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한 가지 현상이 있다. 자의성의 의미 속에는 비폭력이 전제된다는 것이다. 맞서 싸우다가 종국에 굴복하고 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예수님의 산상수훈의 말씀을 실천하는 것이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삶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이다.

상대방을 비방하고 비난하며 때리고 죽이려 하는 행위 자체는 순교자의 태도가 아니다. 오히려 잔인한 박해에도 불구하고 고난을 견디고 자신을 포기하지 않는 것이 순교의 거룩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런데 그러한 순교는 박해자에게는 저항으로 비쳤다. 로마의 황제에게 기독교 신앙을 지키고자 황제 숭배를 거부하는 것은 가장 강력한 저항이었다. 천황을 국체로 여기던 일본에게 기독교 신앙을 지킨다는 것 자체가 일본에 대한 저항이었던 것이다.
순교는 기독교인이 드러낼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저항의 방편이다. 박해와 핍박 속에서 내 신앙을 지키고 숭고하게 죽어가는 그 모습은 죽음이 곧 부활이라는 신앙의 고백 속에서 나오는 것이다.
복음이라는 가치를 지키고 고수하는 절대적인 신앙의 내연이 없고서는 이러한 순교적 신앙은 외연될 수 없다. 기독교 복음의 정수로서만 가능한 것이다. 박해자들에게 그러한 복음적 저항을 탄압하는 것은 그 자체로 불의한 것이 된다. 신사참배를 거부했던 이들에게도 그와 같은 복음적 저항의식은 동일했다. 일본에 맞서거나 일본을 비난하지 않았다. 그들에게는 단지 신앙을 지키는 것, 복음적 삶을 실현하는 것이 우선이었다.
순교는 우리에게 기독교인다움이 무엇인지를 다시 일깨워준다. 기독교인은 단지 예수 믿고 구원받은 한 개인을 일컫는 말이 아니다. 복음적 인간화를 이루는 인간을 의미한다. 인간화는 인간을 세워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복음적 인간화는 복음으로 참된 기독교인을 세워가는 것이다. 순교적 삶이 우리 신앙에서 중요한 이유는 장렬하게 죽음을 맞이했기 때문이 아니다. 복음적 인간화를 실현함으로 기독교인다움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시들어가는 한국교회가 회복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 줄어든 성도, 열악해지는 교회의 재정, 쪼그라드는 사회적 영향력을 회복하는 것일까…. 아니다. 잃어버린 기독교인다움, 복음적 인간화를 실현하는 순교적 삶을 회복하는 최우선이어야 한다.

김정회 교수
<서울장신대학교>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