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믿음으로 한국 땅에 뛰어든 배위량 목사 (93)

Google+ LinkedIn Katalk +

배위량의 제2차 순회 전도 여행 (72)

구미에서 상주까지 (20)

앞에서 밝힌 것처럼 배위량이 1893년 4월 26일에 만약 선산을 방문했다면 아래와 같이 두 가지 경로를 통해 방문했을 것이다.

1. 해평에서 선산을 거쳐 낙동으로 왔다.
2. 해평에서 낙동으로 와서 선산을 방문하고 다시 낙동으로 왔다.

그런데 1이나 2 모두 거리상으로 그리고 시간상으로 가능성이 희박하다고 필자는 앞에서 논증했다. 필자의 생각으로는 배위량이 1893년 4월 26일에 선산을 방문했을 확률이 거의 없다. 이상규가 옮긴『숭실의 설립자. Dairy of William M. Baird 1892.5.18.-1895.4.27.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가 당시에 한국의 수도였던 ‘한성’(‘한양’)을 ‘서울’로 표기한다.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의 1893년 4월 26일 일기와 탁지일이 번역한 일기를 비교할 수 있다. 배위량 일기의 두 가지 본문이 왜 생겼을까? 한 부분은 1946년 8월 15일 이후에 어떤 사람이 배위량의 사후에 그의 일기를 손으로 정리하면서 배위량이 쓴 일기에 니타나는 오탈자를 수정하면서 여러 정황을 보충하고 설명하고자 덧붙인 것 같다.
이상규가 옮긴『숭실의 설립자. Dairy of William M. Baird 1892.5.18.-1895.4.27.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에 나타나는 배위량의 1893년 4월 26일 수요일 밤에 낙동에서 쓴 일기 중에 아래 부분이 있다. 그것을 영어 일기와 대조해 보자.

우리는 선산 읍내를 지나 왼쪽 방향으로 갔고, 강을 건넜다. 서울로 가는 길은 이곳에서 낙동의 서쪽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김천(Kim San)은 이곳에서 80리나 떨어진 아래쪽에 있다고 들었는데, 그곳은 성주 쪽으로 흐르는 강의 서쪽 지역에 속한 곳이다.

We passed Syunsan Umnai to our left today – across the river. Seoul road crosses to the west side of the Aak Tong at this place. Heard that Kim San is away down eighty li from here on the west side of river toward Sung Joo.

이상규는 “We passed Syunsan Umnai to our left today – across the river”를 “우리는 선산 읍내를 지나 왼쪽 방행으로 갔고, 강을 건넜다”라고 번역했다. 이상규는 배위량이 4월 26일에 배위량 순회전도단이 선산을 방문했다는 것을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것 같다. 그런 확신을 가졌다면 이상규가 번역한 것처럼 번역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다.
지금이야 선산읍에 높은 건물이 서 있고 하여 해평에서 낙동을 향해 걸어가면 강 건너편으로 선산읍에 서 있는 건물이 보이니 염려없겠지만, 1893년 당시에는 대부분의 집들이 초가집이었을 것이고 해평에서 낙동으로 가자면 낙동강 서쪽에 위치한 선산읍의 전경을 보기가 어려웠을 것이다. 해평에서 상주 낙동으로 갈 때 눈만 돌리면 서쪽 방향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낙동강이 나오고 그 강 건너편 쪽으로 선산 땅이 펼쳐진다.
만약 배위량이 “We passed Syunsan Umnai to our left today – across the river.”란 문장을 직접 기록했다면 아마도 배위량은 선산을 직접 방문하지는 않았지만, 자신의 일행이 걸어가는 서쪽에 위치한 낙동강을 건너면 선산이 있다는 것을 인식했고 그 인식 속에서 앞의 문장을 기록했을 것이다.
그런데 필자는 배위량이 선산을 방문한 것을 의심하는 마음으로 보았다. “We passed Syunsan Umnai to our left today – across the river”를 읽었다. 그런 마음으로 보니 다음과 같이 번역이 생각났다. 필자는 이렇게 번역하는 것이, 배위량의 여행 일정과 지리적인 판단에서 볼 때 더 타당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We passed Syunsan Umnai to our left today – across the river”란 문장을 필자는 다음과 같이 번역하고자 한다. “우리는 오늘 우리의 [순회전도 여행길] 왼쪽에 선산 읍내를 두고 지나갔다. 그리고 강을 건넜다.”

Seoul road crosses to the west side of the Aak Tong at this place. Heard that Kim San is away down eighty li from here on the west side of river toward Sung Joo.

서울로 가는 길은 이곳에서 낙동의 서쪽 지역을 가로지르고 있었다. 김천(Kim San)은 이곳에서 80리나 떨어진 아래쪽에 있다고 들었는데, 그곳은 성주 쪽으로 흐르는 강의 서쪽 지역에 속한 곳이다.

위의 문장에 등장하는 ‘Aak Tong’, ‘Kim San’과 ‘Sung Joo’를 이상규는 ‘낙동’, ‘김천(Kim San)’과 ‘성주’로 번역한다. 그런데, 4월 26일 일기의 표제어는 “April 26th. Wednesday evening, Naktong”이다. 이 표제어에 ‘Naktong’이란 고유 명사가 나온다. 그리고 28일에 쓴 배위량의 일기에는 ‘Aak Tong’이란 말이 한 번 나오고 ‘Naktong’이란 말이 두 번 나온다. 이상규는 ‘Aak Tong’과 ‘Naktong’을 모두 ‘낙동’으로 번역했다. ‘낙동’은 상주 ‘낙동면’의 이름이기도 하고 ‘낙동강’의 이름이기도 하다. 4월 26일과 28일에 쓴 일기에 배위량이 실수로 ‘Aak Tong’과 ‘Naktong’을 함께 사용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배위량의 일기를 보고 그 사정을 더 보충하기 원하는 후대의 어떤 사람이 실수하여 배위량의 일기에 ‘낙동’의 이름을 잘못 표기하여 두 가지 이름을 사용한다. 탁지일이 번역한 배위량의 일기의 영어 본문에는 이런 실수가 보이지 않고 ‘Naktong’의 이름이 계속 유지된다. ‘Sung Joo’란 말을 이상규는 ‘성주’라고 번역하여 Heard that Kim San is away down eighty li from here on the west side of river toward Sung Joo란 문장의 해석을 아주 어렵게 다음과 같이 번역한다. “김천(Kim San)은 이곳에서 80리나 떨어진 아래쪽에 있다고 들었는데, 그곳은 성주 쪽으로 흐르는 강의 서쪽지역에 속한 곳이다.” 만약 ‘Sung Joo’가 별고을 ‘성주(星州)’를 말하는 말이라면 4월 28일에 쓴 배위량의 일기의 표제어인 “April 28th, Friday morning, Sung Joo”를 “4월 28일, 금요일 아침, 상주”라고 번역하는 것이 조화롭지 않다.
28일의 일기에 ‘Sung Joo’란 이름 대신에 ‘Sangjoo’와 ‘Sang Joo’란 이름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상규는 ‘Sung Joo’(2번), ‘Sangjoo’(1번)와 ‘Sang Joo’(1번)를 모두 ‘상주’라고 번역한다. 28일의 일기에 등장하는 ‘Sung Joo’, ‘Sangjoo’와 ‘Sang Joo’는 모두 문맥상 ‘상주’가 맞는 번역어이다. 배위량의 25일 해평에서 쓴 일기에도 ‘성주’가 두 번 등장한다. 이 날에 쓴 일기에 ‘성주’를 ‘Syung Joo’라고 두 번 다 쓴다. 이날 쓴 일기에 나오는 ‘Syung Joo’는 성주군의 지명을 말하는 고유명사이다. 그런데, 하루 뒤에 쓴 일기에 ‘Sung Joo’라는 말이 두 번 등장한다. 그런데 ‘Sung Joo’가 한 번은 ‘상주’를 뜻하는 말로 한 번은 ‘성주’를 뜻하는 말로 사용했을까?

배재욱 교수
<영남신학대학교>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