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돌아 본 삶의 현장] 다시 돌아온 기전학교

Google+ LinkedIn Katalk +

대전대학에서 기독교인으로 만들어지고 훈련된 나는 유학의 꿈도 잠시 잊고 1965년 초 다시 삶의 현장으로 돌아왔다. 기전학교는 처음 알기 시작한 처녀의 신비한 자태를 벗어버리고 집 나갔던 남편을 맞아주는 아내 같은 모습으로 덤덤히 누워 기다리고 있었다. 나에게 주어진 의무는 연구주임을 해줄 것, 고2 수학을 담당해 줄 것, 학교에서 개척한 교회에 출석해 줄 것 등이었다.
내가 이 학교에 들어올 때는 필사적이었다. 그런데 2년 전에 나는 다시는 보지 않을 것처럼 그리고 곧 미국 유학이나 떠날 사람처럼 이 학교를 등졌다. 이제는 탕자처럼 또 이 학교에 찾아 든 것이다. 성경에는 이스라엘 백성들은 하나님의 기적과 은총을 체험한 곳마다 후손에게 그때 그 순간을 기억하게 하려고 그곳에 돌단을 쌓았다고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내 생애에서도 돌담을 쌓는다면 이 학교야말로 바로 그런 곳이다. 따라서 이곳은 나에게는 야곱에게 있어서의 벧엘과 같은 곳이다. 그곳으로 하나님은 나를 또 불러주셨다. 하나님께서는 내게 이번에는 무슨 은혜를 체험하게 하시려는가? 이 학교에 부임했던 3년간을 기독교인이 되는 모방 기간, 대전대학의 2년을 훈련 기간이라고 본다면 이번은 내 힘으로 기독교인의 첫걸음마를 하는 기간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그러나 얼마 안 되는 기간 나는 많은 신앙적인 갈등을 겪어야 했다.
내가 연구주임으로 이곳에서 첫 번째 시도한 것은 학과별 연구수업이었다. 해당 학과의 선생들이 모두 참여해서 연구수업을 참관하고 방과 후에는 수업 평가를 해서 학생들에게 양질의 교육으로 봉사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 일은 교장의 강력한 지지에도 불구하고 좋은 호응을 받지 못하였다. 지도안을 쓴다는 것과 그것을 위한 여러 가지 자료 수집과 교편물 준비 등이 업무량을 가중했다. 그런 짓 하다가는 진학지도는 못 한다는 것이었다. 또 동료들의 수업을 참관하고 잘했다, 못했다 떠들어대는 것 자체가 못돼먹은 짓이라는 것이었다. 수업하는 동안 판서, 수업 태도, 학생 반응, 목표에 대한 성취도, 교편물의 활용도 등을 객관적인 자로 측정하여 이러쿵저러쿵 말장난하자는 것인데 그것이 돼먹은 짓이 아니며 형식적이며, 보이기 위한 수업이며, 진학지도에 역기능을 한다는 것이었다.
이런 반대에도 불구하고 연구수업은 계속되었다. 문제는 나이가 많은 이 학교의 선생이 연구수업을 하게 된 일이었다. 그분은 연구수업을 노골적으로 반대하는 분이었다. 기독교 학교에서는 교육에 그런 세상적인 방법을 도입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하나님의 뜻에 따라 학생들을 사랑으로 보살피고 있으면 그들의 장래는 하나님께서 인도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연구수업이 지정되자 나이 많은 사람을 어린 사람들 앞에서 우세(부끄러움을 당함)시키려 한다고 얼굴을 붉히었다. 그러나 그 주장은 용납되지 않고 연구수업은 진행되었다. 그리고 수업 결과는 교장의 노여움으로 끝났다. 결론은 한 달 동안 유료 휴가를 줄 테니 시내 모든 학교를 돌면서 수업을 참관하고 오라는 지시였다. 좀 지나치다는 생각이 들었으나 나는 잠잠하였다. 솔직히 나는 교장과 같은 생각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하나님께서 이 학교에 맡겨준 학생들을 지도하는 데는 경영자로서 최선을 다해야 하며 교육기관은 자선단체가 아니므로 자기발전이 있을 수 있도록 언제나 자극이 주어지고 이런 경고에도 아무 효과가 없는 교사는 교체되어야 한다는 생각이었다. 그러나 옳은 일에 최선을 다하고 나면 마음이 흐뭇해야 할 터인데 그러지 못했다. 교장은 좋은 선생을 확보하기 위해 전국적으로 채용공고를 내서 서울대, 이대, 경희대 등 젊은 선생들을 채용했다. 곧 떠나도 개의치 않았다. 당시 교사 중 이향아, 오세영, 이운룡 같은 시인들이 재직했고 ‘혼불’의 최명희 작가가 이 학교의 출신이었다. 그때 교회에서 제일 많이 쓰고 내가 다루기 힘들었던 용어가 ‘은혜스럽게’였다. 나는 ‘은혜스럽게’ 문제를 해결해야 해서 힘들었다.

오승재 장로
•소설가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오정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