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고아들의 벗, 사랑과 청빈의 성직자 황광은  목사 (8)   불우한 이웃의 벗이던 소년 <7> 

Google+ LinkedIn Katalk +

자기를 버리려 일생 노력

큰 허물도 용서하는 사람

예술가 소질도 다재다능

악단에 연극까지… 인기 높아

강 장로도 웃음을 터뜨리며 어이없다는 투로 말했으나, 황 목사는 더 이상의 대꾸를 하지 않고 공적인 발언을 했다. “자, 다 모이셨으면 이제부터 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그 사족(蛇足)을 달지 않는 위트가 멋지다고 느껴졌다. 이런 위트는 그가 태어나면서부터 지닌 소질이었다고 생각한다.

1979년 여름, 황광은 목사의 전기를 쓰기 위하여, 그에 대한 자료 수집차 서울 YMCA 총무인 원치호(元致豪) 씨를 만났을 때, 황광은 목사와 오랜 친교를 가졌던 원 총무는 황 목사를 다음 세 가지 말로 평했다.

첫째, 그는 자기를 버리는 사람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성 프랜시스와 같은 삶을 살려고 일생 동안 노력하고 노력했다. 둘째, 그는 상대방의 아무리 큰 허물이라도 용서하는 사람이었다. 주기도문 속의 “우리가 우리에게 죄지은 자를 사하여 준 것같이”란 구절을 실천한 사람이다. 셋째, 그는 예술가가 될 소질이 있는 다재다능한 사람이었다. 동시나 동화를 쓴 것은 물론이고, 구연동화나 웅변 및 설교는 일품이었으며, 음악도 언제 배웠는지 하모니카, 아코디온, 바이올린, 피아노, 거기에다 성악까지 못하는 것이 없었다.

이런 예술적인 재능을 선천적으로 타고났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광은 소년은 어렸을 때부터 같은 또래의 아이들 사이에 인기가 있었고 또 그 자신 뛰어난 지도력을 지니고 있었다. 

그가 열두 살 되던 1934년에 일가는 용암포로 이사가게 되었는데, 광은 소년은 거기에서도 지도력을 발휘했다. 용암포 중앙교회 소년 면려회 임원이었던 그가 한 일은 동네 어린이 악대를 조직한 일이었다. 악대라고 해서 무슨 값나가는 악기가 있을 리 없었다. 냄비, 바가지, 밥그릇, 심지어 톱까지 동원되었다. 소리가 나는 것이면 전부 악대에 편성했다. 그래서 동네 사람들은 ‘황광은과 그의 악단’을 가리켜 ‘쟁개비 밴드부’라고 했다. ‘쟁개비’란 무쇠, 양은으로 만든 작은 냄비를 가리키는 말이다.

‘쟁개비 밴드부’에는 다행히 낡은 나팔 하나와 찢어진 북 하나가 있었다. 그들은 열심히 연습했다. ‘노인 위안의 밤’을 열기 위해서였다. 변변한 문화 시설이라고는 전혀 없는 시절이라 동네 노인 위안의 밤은 굉장한 성공을 거두었다.

찢어진 북을 치고, 나팔을 불고, 쟁개비를 두들겨 트라이앵글 소리를 내고, 바가지를 때려 캐스터네츠 소리를 내기도 하고… 거기에 의상 또한 가관이었다. 한복 두루마기를 입고, 갓을 쓰고, 담뱃대를 메고…

내용도 푸짐하여 만담에 즐거운 놀이에 연극까지 하여, 거기 모인 사람들을 울리고 웃기고 했다. 그 뒤로 교회 행사 때는 말할 것도 없고, 동네의 어지간한 모임에는 으레 ‘쟁개비 밴드부’가 동원되곤 하였다. 그리고 그때부터 광은 소년의 인기는 더욱 더 높아져, 교회에서건 동네에서건 “광은이, 광은이” 하며 많은 사랑을 받게 되었다.

이미 70년 가까운 옛날의 일이지만, 그 무렵 용암포에 살던 사람은 지금도 ‘쟁개비 밴드부’의 이야기를 아련한 전설처럼 말하고 있다. 그 당시를 기억하고 계신 분 가운데 한 사람이 교계의 원로로서, 서울 충현교회를 시무하고 계시는 김창인(金昌仁) 원로 목사님이다. 김 목사님은 그때 용암포 중앙교회 전도사로 시무하고 계셨기에 광은 소년의 일을 자세히 기억하고 있다.

독서로 나날을 보내던 시절

황광은 목사의 소년 시절에 대해서 그와 같은 고향에서 자라난 이도명 장로(전 대광국민학교 교장)는 다음과 같이 회상하고 있다.

나와 황광은 목사와의 관계는 내 고향 평안북도 용암포에서부터 시작된다. 황 목사와 우리 가정은 닮은 점이 많았다. 황 목사의 부친 황도성 장로와 나의 할아버지 이용석 장로는 같은 용암포 중앙교회에서 시무하셨고, 그의 형님인 황태은 장로와 나의 선친 이창주 장로는 인쇄소를 동업하면서 한 집안처럼 지내고 있었다.

 내가 주일학교에 다닐 때 그의 형님 황태은 장로님은 주일학교 부장님이셨고, 황광은은 청년면려회장 등을 맡은 유능한 청년 지도자였다. 황태은 장로님이 소년 척후대(지금의 보이스카우트)의 지도자로 계실 때 나와 황광은은 대원이었는데, 황광은은 우리 대원들을 신바람이 나도록 잘 지도해주곤 하였다. 프로그램 중 비밀 장소 찾아가기 등은 참 재미있었다. 그의 동생 황정은과 나는 한 살 차이로, 그때 척후대 복장으로 같이 찍은 사진을 지금 보면 신기하기도 하고, 60년 전에 내가 이미 보이스카우트 대원이었다는 데 대해 큰 자부심을 가지게 된다.

청년 황광은은 남달리 많은 재주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노래도 잘 불렀고, 하모니카도 잘 불었으며, 아코디온도 잘 연주했다. 특별히 그는 연극에도 소질이 많았던 것 같았다. 크리스마스 때는 그가 연출하는 성극에 내가 뽑혀서 연극했던 일을 지금도 생생하게 기억한다. 그의 또 하나의 특징은 항상 생글생글 웃는 것이었고, 표정은 언제나 밝고 평화스러웠다. 불쌍한 아이들과 늘 친구가 되어주며 도와주곤 했던 그는 어른들로부터 늘 칭찬을 받고 있었다.

어린 밤엿장수

황광은 목사의 어린 시절에 있었던 에피소드 중 한 가지로, 그의 동생 정은 장로는 다음 사건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하루는 눈보라치는 추운 겨울날 밤도 깊은 새벽 한 시쯤 되어서, 광은 형님이 방안에 들어왔다. 형님은 어깨에 함지를 메고 있었는데, 바깥 날씨가 얼마나 추웠던지 마치 눈사람처럼 꽁꽁 얼어 있었다. 그런 일이 있은 지 며칠 후 나는 우연히 광은 형님의 일기장을 보고서야 그 날 무슨 일이 있었는지 알게 되었다.

 광은 형님은 그날 밤 방한모에 목도리를 칭칭 감아 누구인지 알아볼 수 없게 변장을 하고, 엿공장에 가서 엿을 도매로 뗐다. 그 엿을 함지에 담아 어깨에 메고, “고추 양념한 맛있는 엿이오!”하면서 동네를 누비고 다녔다.

광은 형님의 목적은 엿장사를 해서 돈을 벌자는 것이 아니라, 모질게 추운 날 동네 사람들이 불쌍한 엿장수를 어떻게 대하는가 하는 것을 알아보기 위해서였다. 어떤 사람은 “추운데 어린 사람이 고생이 많구만”하면서 거스름돈을 받지 않고 그냥 가지고 가라고 인정을 베푸는 집이 있었다.

그러나 며칠 전 크리스마스 때 새벽송을 도는 찬양대에게 뜨끈뜨끈한 떡국을 대접하며 극진히 환대하던 K장로님 댁에서는 ‘너무 비싸니 엿을 몇 개 더 얹으라’고 하며 엿이 담긴 함지를 낚아채더라는 사실을 적어 놓았다.

김희보 목사

• ‘人間 황광은’ 저자

•전 장신대 학장

•전 한국기독공보 편집국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