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들의 생활신앙] 죽음을 기억하라(Memento mori)

Google+ LinkedIn Katalk +

인간이 태어나는 방법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죽는 방식은 천차만별하다. 출생과 탄생 등에 비해 죽는 방법은 전사(戰死), 정사(情死), 아사(餓死), 익사(溺死), 소사(燒死), 압사(壓死), 추락사(墜落死) 등 다양하다. 항상 죽을 것을 기억하자(Memento mori). 사망(死亡), 임종(臨終), 별세(別世), 타계(他界), 하직(下直), 서거(逝去), 작고(作故), 선서(仙逝), 기세(棄世), 하세(下世), 귀천(歸天), 영면(永眠), 영서(永逝), 영결(永訣), 운명(殞命), 절명(絶命) 등이다. 유명(幽明)을 달리했다는 말도 유(幽/어둠/무형/저승)와 명(明/밝음/유형/이승)을 달리했으니 곧 죽음인 것이다.

죽음에 대해선 종교에 따라서도 다르게 표현한다. 불교에서는 열반(涅槃), 입적(入寂), 입멸(入滅), 멸도(滅度) 등이 있고 유교에서는 역책(易), 결영(結纓), 불록(不祿) 등으로 표현한다. 역책(易)이란 말은 <예기>의 ‘단궁편’(檀弓篇)에 나오는데 학덕이 높은 사람의 죽음이나 임종을 가리킨다. 증자(曾子)가 운명할 때 일찍이 계손(季孫)에게 받은 대나무 자리에 누워있었는데 자신은 대부(大夫)가 아니어서 이 자리를 깔 수 없다 하고 다른 자리로 바꾸게 한 다음 운명했다는 고사에서 유래된 말이다. 결영(結纓)이란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말로 ‘갓끈을 고쳐 맨다’는 뜻인데 자로(子路)가 위(衛)나라 난리에서 싸우다가 적의 창에 맞아 갓끈이 끊어졌는데 ‘군자는 죽을 때에도 갓을 벗지 않는다’ 하고 갓끈을 고쳐 맨 다음 죽었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불록(不祿)이란 신분에 따른 죽음의 다섯 가지 등급 가운데 하나이다. 즉 천자(天子/왕)는 붕(崩), 제후는 훙(薨), 대부는 졸(卒), 선비는 불록(不祿), 서인(庶人/평민)은 사(死)라고 했다. <예기>의 ‘곡례’(曲禮) 편에선 ‘장수하다가 죽는 것을 졸(卒)이라 하고 젊어서 죽는 것을 불록(不祿)이라 한다’고 돼 있다.

가톨릭에서는 일반적으로 선종(善終)이라 하는데 이는 선생복종(善生福終)을 줄인 말로서 ‘착하게 살다가 복되게 죽었다’는 의미이다. 믿음대로 살다가 천국에 갔다는 의미를 갖고 있다. 기독교에서는 ‘소천(召天) 하였다’라고 쓰는데 문법상 문제가 있다. 소천(召天)이란 말은 우리말 사전에도 없는 신조어로서 말뜻으로 보면 ‘하늘을 부른다’는 뜻이다. (소명(召命)이나 소집(召集)이 능동형으로 쓰일 땐 그 주체는 부르는 존재를 가리킨다. 따라서 ‘소명을 받았다’, ‘소집을 당했다’고 해야 맞는다.) 따라서 ‘소천을 받았다’라고 쓰는 게 맞다. 또 망자(亡者)나 그 가족에게 하는 상례의 인사말로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는 말도 검토해야 한다. 명복(冥福)이란 죽은 뒤에 저승에서 받는 복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죽은 자의 사후 행복을 빈다’는 말인데, 서방정토에 가서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불사(佛事)를 행하는 일이다. 따라서 ‘고인의 영면을 기원합니다’, ‘고인의 별세를 애도합니다’, ‘고인의 영면을 추모합니다’, ‘고인의 영원한 안식을 기원합니다’ 같은 것으로 바꾸는 게 좋다. 특히 기독교인이나 가톨릭교인의 장례에서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라고 하는 것은 종교적으로도 결례이다. 

불교에서는 무간지옥에 떨어진 중생(衆生)을 구제하는 보살인 ‘지장보살’과 ‘관세음보살’에게 기도를 하는 천도(薦度)의 발원(發願)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태어난 모든 인간은 죽게 되어있다(生者必滅). 인간의 평가는 어떻게 낳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살았는가와 어떻게 죽는가에 따라 결정된다. 얼마나 오래 살았는가는 그리 중요한 게 아니다. 태어날 때는 모두 웃었는데 본인만 울었다. 반대로 죽을 때는 본인만 조용히 눈 감고 많은 이가(아쉽고 고마워서) 울어주는 죽음을 택하라. 그러나 이것이 그리 쉬운 일은 아니다. 희생과 봉사와 공익을 위한 수고가 있어야만 가능한 일이기 때문이다. 자기의 천국 환송식은 오랫동안 공들여 준비해야 되는 일이다.

김형태 박사

<한남대 14-15대 총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