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유월엔 보훈을 꺼내 마음에 담고

Google+ LinkedIn Katalk +

2011년 7월 25일 오전 9시 10분경, 영등포역에서 서울발 부산행 새마을호가 역내로 들어오고 있었습니다. 주위를 살피고 있던 역무원 김행균씨는 안전선 밖에서 놀고 있는 10살쯤 된 아이를 발견하고 마음이 급했습니다. 열차가 달릴 때 강한 바람이 일어 그 바람에 아이가 중심을 잃으면 화를 당할 수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반사적으로 김행균씨는 선로로 뛰어내려 어린이를 밖으로 밀어내고 자신은 반대편 상행선 선로로 피하려다 그만 달려오는 열차에 왼쪽 발목 아랫부분과 오른쪽 발등을 잘리고 정신을 잃었습니다. 그리곤 구급차에 실려 병원으로 가면서 의식이 돌아오자마자 묻습니다. “아이는 무사합니까?” 자신이 얼마나 다쳤느냐보다도 아이의 안전이 더 걱정이었습니다.

그런데 이 아이는 어디로 갔을까요? 새마을호 승객으로 보이는 이 아이를 찾기 위해 열차와 역 구내에서 안내 방송을 하였는데, 끝내 아이는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그 후, 전국적으로 신문과 방송에 사건 기사가 났기에 분명 해당자 아이와 그 부모가 알 것인데 종내 나타나지 않았고, 감사하단 말 한마디 없었습니다. 당시 이 사건은 언론에 대서특필되었고, 모두들 씁쓸한 마음에 참 비정한 사회라고 아파했습니다. 

6월은 우리나라의 호국 보훈의 달입니다. 호국(護國), 풍전등화와 같았던 6.25전쟁을 기억하십니까? 이 동족상쟁의 비극으로 한반도는 초토화되었습니다. 이 전쟁으로 인해 300만 명의 민간인 사상자와 1000만 명의 이산가족이 생겼습니다. 국군과 유엔군 20여만 명, 학도병 약 2000명이 죽었습니다. 김일성은 그 짧은 남한 점령 기간동안 군인과 경찰, 그들 가족, 그리고 우익인사와 지식인, 종교인 등 양민 13만 명을 처참하게 학살했습니다. 

전 국토가 초토화된 풍전등화와 같은 위기에 빠진 우리 민족, 우리나라를 전면적인 공산화에서 건져주고, 막아준 이들이 누굽니까? 물론 죽기를 각오하고 싸운 우리의 국군이요, 학도병입니다. 그리곤 이들, 곧 유엔군과 미군입니다. 미국이 우리를 돕기 위해, 파병한 군대는 283만 4,000명의 육군과 111만 7,000명의 해군, 그리고 42만 4,000명의 해병대, 128만 5,000명의 공군, 합 572만 명의 군인을 파견했고 이 중에 사망자가 5만 4,246명, 부상자가 10만 3,284명입니다.

그것뿐이 아닙니다. 이 6.25 전쟁에서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자기 아들을 바쳤고, 클라크 유엔 사령관도 아들을 바쳤습니다. 워커 중장은 자식과 함께 참전했다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당시 미 8군 사령관이었던 벤플리트 장군의 아들은 조종사로 참전했다가 실종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전쟁에서 우리나라 고위층 자녀 가운데 전사하거나 포로된 사람은 없답니다. 그들이 싸움을 잘해서 그런 게 아닙니다. 자식들을 군대에 보내지 않았고, 대부분 외국으로 피신시켰다는 이야기가 돕니다.

그럼에도 이 허물어지는 나라와 국토를 지키겠다고, 사랑하는 가족을 지키겠다고 그 열악한 무기를 들고 자기 생명을 던진 분들, 우리가 어떻게 그분들을 잊을 수 있겠습니까? 동양의 그 작은 나라, 살려고 발버둥 치는 백성을 위해 그 먼 곳에서 달려와 도와준 이국의 젊은이들을 어찌 잊을 수 있습니까? 

보훈(報勳), 유감스럽게도 우리는 마땅한 보훈을 잊고 삽니다. 마치 영등포역에서 그런 귀한 은혜를 입고도 아무 말 없이 사라진, 그래서 전 국민을 씁쓸하게 만들었던 그 가족처럼, 우리도 그런 은혜를 입고도 무관심 속에 삽니다. 그럴 수 있습니다. 사는 게 바빠서 잊고 살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 년에 한 번, 유월엔 보훈을 꺼내 마음에 담아 봅시다. 아름다운 나라, 아름다운 민족을 주신 하나님께 감사하며, 이 아름다운 나라와 민족을 지키기 위해 희생한 분들을 잊지 맙시다. 좋은 계절이 왔다고, 아름다운 산하(山河)라고 감탄하는 이때, 이렇게 아름다운 산하를, 나라를 지켜준 고마운 분들을 기억하며, 보훈을 마음 깊이 담읍시다. 대한민국, 모든 백성의 마음엔 유월에 보훈이 자리 잡을 때입니다.

양의섭 목사

<서울노회장, 왕십리중앙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