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리더] 암(癌)

Google+ LinkedIn Katalk +

사람은 정자와 난자가 만나 일어나는 무수한 세포의 분화의 결정체이다. 우리 몸을 쪼개고 또 쪼개면 결국 세포들만 남는다. 세포들에는 제 각각의 임무가 주어진다. 피부 세포는 외부의 충격에서 혈관과 뼈 등 내부를 지키기 위해 끊임없이 생성 발전한다. 위 세포는 소화를 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생성 발전한다. 이렇게 세포들은 끊임없이 새롭게 태어나고 기능을 다한 세포는 사멸한다. 이 때 죽은 세포보다 더 많은 수의 세포가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세포가 증식된다. 이렇게 생긴 불필요한 여분의 세포는 정상적으로 자리를 잡지 못하고 볼록한 혹처럼 자리 잡는다. 이것을 우리는 ‘종양’이라고 한다. 종양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마치 피부에 생기는 사마귀처럼 어느 정도까지 크면 세포의 증식이 멈춰서 더는 커지지 않는 종양을 양성 혹 또는 양성 종양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종양은 여기에 해당한다. 그런데 드물게 세포가 증식 활동이 멈추지 않아 계속 커지는 혹(종양)이 있다. 이렇게 계속 자라서 결국에는 생명까지 위협하는 종양을 악성 종양이라고 한다. 이것이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암(癌)이다. 악성 종양을 이루는 세포들은 잘못된 성장으로 자신의 원래 기능도 망각하고 주변 조직으로 파고들어 주변의 정상세포를 파괴한다. 시간이 지나면 혈관으로 침범하여 혈액을 타고 다른 장기로 이동하여 다른 장기에 자리 잡아 증식을 계속하는 돌연변이 세포이다. 이것을 우리는 ‘암세포’라고 부른다. 이런 암세포로 인해 유발되는 질환을 통칭해서 암 질환이라고 말한다.

암(癌) 자는 뜻을 나타내는 병질 엄(疒 ) 부와 음(音)을 나타내는 바위 암(嵒)이 합(合)하여 이루어진 형성문자이다. 엄(疒) 자는 ‘병들다’나 ‘앓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엄(疒) 자는 나뭇조각 장(爿) 자에 획이 하나 그어져 있는 모습이다. 여기서 장(爿) 자는 침대를 뜻하고 침대 위로 그어진 획은 병에 걸린 사람이 누워있다는 뜻을 표현한 것으로 엄(疒) 자는 병이 든 사람이 누워있다는 의미에서 ‘병들다’나 ‘앓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다만 疒자는 단독으로는 쓰이지 않고 다른 글자와 결합하여 다치거나 질병과 관련된 의미를 전달하고 있다. 암의 어원은 바위로 바위 암(巖), 바위 암(岩), 바위 암(嵒), 바위 암(嵓) 등의 바위에 대한 한자가 사용되고 있다. 암에 걸리면 바위처럼 딱딱해 진다하여 병질 엄(疒) 자와 바위 암(嵒)를 합해 암 암(癌)자가 만들어 졌다. 

암을 뜻하는 영어의 캔서(cancer)는 게(蟹 crab)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carcinos 에서 유래되었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가 그의 저서에서 여러 종류의 암에 대해 언급하면서 이 단어를 여러 차례 사용했다. 독일어로는 크레브스(Krebs:게)라고 이르는데, 이유는 암의 표면이 게딱지처럼 울퉁불퉁하며 딱딱하고, 게가 옆으로 기어가듯 암세포가 번져 나가기 때문이다. 인체에 생긴 암에 관한 문헌은 이집트의 가장 오래된 의학서로 외상(外傷)의 치료법에 대해 언급한 에디윈 스미스 파피루스(Edwin Smith Papyrus)로 유방암에 대한 언급이 있다. 기원전 1600년경에 만들어 진 것으로 추정되는 이 교재에는 심장박동, 내장 및 혈관에 대한 지식이 담겨 있다. 상처치료를 위해 초보적인 외과기술을 지니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암의 세포학적 본태에 대해서는 뮐러(Johanes Muller)가 1838년 여러 가지 종양을 현미경적으로 처음으로 명시하였다. 암(癌)을 상피성 악성종양이라고 병리학적 정의를 내린 사람은 독일의 병리학자 비르호(Rudolf Virchow)이다.

고영표 장로 (의정부영락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