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이슈] 선천 복음화와 민족 교육의 주역 양전백 목사 ⑦

Google+ LinkedIn Katalk +

전국 교육 구국 운동…선천읍교회 교인들 중심 창립

담임목사 부임 후 교회•학교서 민족 구원 신앙 실천

당시 교육 구국의 이념으로 선천에도 많은 학교가 설립됐는데, 특히 양전백이 세운 신성중학교는 을사늑약 체결과 전국에 교육 구국 운동이 요원의 불길처럼 퍼져 나가던 1906년 양전백을 비롯한 선천읍교회 교인들이 중심이 되어 창립했다. 명의상 초대 교장은 위대모 선교사였으나, 학교 재정과 교과 운영은 전적으로 한국인들이 담당했다. 당시 12명의 학생으로 시작한 명신학교는 1901년 부속 여자 소학교를 설립하며 점차 확장되었다.

초기에는 선천읍교회 건물을 빌려 26명의 학생에 6인의 교사진으로 출발한 신성중학교는, 1909년 북장로회 선교부에서 미국 독지가의 기부금을 받아 교사와 기숙사를 신축하고 학교의 경영권을 넘겨 받음으로 미션 스쿨로 개편됐다. 이때 신성중학교의 2대 교장으로 부임한 매큔(George S. McCune, 윤산온) 선교사는 모교인 파크 대학의 교육방침대로 공작부와 농장을 설치하고 ‘3H’(Head, Heart, Hand) 곧 지(智), 덕(德), 공(工)의 집성 교육을 했다. 한편, 양전백과 선천읍교회 교인들은 1907년 보성여학교를 설립해 여성 지도자를 길러내는 교육에도 힘을 쏟았다. 이 학교는 남강 이승훈이 설립한 정주의 오산학교와 더불어 민족운동의 산실이 됐다. 또 그는 미주 교포들이 보내준 성금으로 1908년 대동고아원을 설립했다.

앞서 감리교는 1901년 김기범, 김창식 두 사람을 ‘집사 목사’로 안수했다. 장로교는 6년 후인 1907년에야 목사를 배출했다. 1907년 6월 양전백은 길선주, 방기창, 서경조, 송린서, 이기풍, 한석진과 함께 장로회신학교를 제1회로 졸업했다. 이들 7인은 석 달 뒤 대한예수교장로회 독 노회가 조직되자 목사 안수를 받고 한국 장로교회의 초대 목사들이 됐다. 당시 38세로 그들 가운데 가장 나이가 어렸으나 학식에는 으뜸이었다는는 양전백은 목사 안수를 받은 후 평안북도와 남만주 일대를 순행하는 목사로 2년간 시무했다. 

그리고 1909년 선천읍교회(1911년 선천북교회로 개칭)의 담임목사로 부임한 이후 양전백은 교회와 학교를 오가며 민족 구원의 신앙을 실천했다. 당시 선천은 ‘동양의 예루살렘’으로 불렸는데, 시내를 4등분하여 동서남북에 교회가 하나씩 있었다. 1890년 북교회가 제일 먼저 시작됐는데, 1906년 양전백이 목회할 당시 교인 수가 1,400명에 달했다. 1910년 김석창 목사가 남교회를 개척했는데 얼마 후 1,200명이 모이는 교회로 급성장했다. 당시 선천읍 인구가 5,000명이었으므로 두 교회 교인만 해도 인구의 절반이 넘었다. 당시 장날이 주일과 겹치면 장사꾼들이 왔다가 인파를 따라 교회까지 가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양전백 목사는 선천을 ‘한국의 예루살렘’으로 일궈내며 평생토록 섬겼다. 

1910년 명신학교 교장을 맡아 교실을 건축해 200여 명의 학생을 수용할 수 있는 시설로 발전했다. 그리고 1910년과 1911년 YMCA 제1, 2회 학생 하령회에 연사로 참여해 학생들에게 민족 구원을 위한 삶의 헌신에 대해 연설했다.

105인 사건

선천읍교회의 담임목사로 부임한 이후 양전백 목사는 교회와 학교를 오가며 민족 구원의 신앙을 위해 전력했다. 한편 1910년 가을, 일본은 양전백, 이상재, 최병헌 등 한국의 각 교파의 명망 있는 교역자 17인을 초청해 일본을 시찰했다. 일본의 발전된 문물을 보여 줌으로 그들을 주눅 들게 해 회유 포섭하려는 속셈이었다. 그러나 시찰단 일행은 기죽지 않고 일본의 정치가와 종교인들 앞에서 일본의 풍요한 문명과 종교•도덕의 빈곤함을 대비시키며 그것을 풍자했다고 한다. 시찰에서 돌아온 양전백은 사람들에게 “영국이 100년에 걸쳐 이룩한 사업을 일본이 30년 만에 이루었다면, 조선이 이를 10년 안에 이루지 말라는 법이 있겠느냐?”하며 종교•도덕성을 각성하고 각종 사업에 힘쓸 것을 격려했다. 

이승하 목사<해방교회 원로>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