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구영신(送舊迎新)의 뜻은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이한다.’이다. 이 송구영신이란 말의 유래는 중국 당(唐) 송(宋) 시대의 서현(徐鉉)이 쓴 시의 한 구절인 송구영신료불기(送舊迎新了不欺)에서 나온 것인데, 그 뜻은 ‘옛것을 보내고 새것을 맞는 일은 속임이 없다’이다.
이 송구영신(送舊迎新)을 한국교회는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는다’로 의미 전환하여 12월 31일에 예배를 드리고 있다. 이 송구영신예배를 무속적인 요소가 기독교에 들어온 것이라고 하여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들의 주장은 한국의 섣달그믐의 풍습인 밤에 잠을 자지 않고 등불을 집안에 밝히면서 제사상을 차려 놓고 신령을 기다리는 세시풍속이 있는데, 이것이 한국교회의 송구영신 예배의 뿌리라는 주장이다.
한국교회사에서 최초의 송구영신예배는 1887년 12월 31일 장로교 선교사 언더우드가 목회하던 새문안교회와 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가 시무하던 정동제일감리교회가 연합예배를 드린 것이 유래라고 알려져 있다. 이날의 예배는 송구영신예배 대신에 ‘언약갱신예배’라는 이름으로 드려졌다. 언더우드와 아펜젤러는 복음주의 신학을 배운 보수적 선교사들이었지만, 한국의 전통적 풍습을 파괴하지 않고 오히려 복음으로 의미 전환해서 기독교 예배 전통의 새로운 역사를 만들었다.
초기 선교사와 한국인 지도자들은 이런 정신으로 무속신앙의 ‘하늘님’을 ‘하나님’으로 바꾸어 기독교의 신의 이름으로 사용하였고, 새벽기도를 시작하였으며, 금주 문화를 계몽하기 위하여 <금주가>라는 찬송가를 만들어 불렀고, 우리 민족의 기본적 종교 심성인 정(靜)적인 요소를 묵도(黙禱)로 승화시켜 예배를 시작하였다. 그 밖에도 토착 종교의 용어인 기도(祈禱), 축도(祝禱), 축복(祝福), 천당(天堂), 지옥(地獄), 제단(祭壇), 제물(祭物), 신(神) 등을 기독교 용어로 바꾸어 버렸다.
이것이 진정한 보수 신앙이다. 오늘날 한국교회는 보수 신앙에서 근본주의 신앙으로 타락하였다. 진정한 보수 신앙은 발붙이고 있는 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것을 기독교적으로 변혁시켜 복음화할 줄 안다. 그러나 근본주의 신앙은 토착 문화를 여지없이 배척하고 파괴하는 것밖에는 모르므로 사회적으로 지탄의 대상이 되고 문화적으로 고립되는 부정적 결과를 낳는다. 한국교회는 그 옛날 선교사들과 교회 지도자들이 가졌던 진정한 보수 신앙으로 돌아가야 민족종교가 될 수 있다.
문성모 목사
<전 서울장신대 총장
• 강남제일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