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은 풍요해지고 편리해졌다. 예전에 상상할 수도 없을 만큼 발전을 했다. 이제는 인공 지능(Artifical Intelligence, AI, 인공 지능을 가진 컴퓨터, 인간의…
연재Ⅱ
동양에선 일찍이 父子有親과 함께 ‘父傳子傳’(그 아버지에 그 아들)이란 말이 널리 회자 되어왔다. 그 아들을 보면 그 아버지를 대략 알아볼 수…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은 천주교를 믿은 죄로 1801년, 전남 강진으로 18년 간이나 귀양을 갔었다. 그는 가족과 떨어져 유배지 전라도 강진에서 홀로의…
현재적 부활 : 현재적 종말론<2> 칼 바르트는 불트만의 실존론적 복음 해석을 반대하고, 철저히 성서적이고 종교개혁적 입장에서 새로운 정통주의 신학의 길을…
세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것이 어디 한둘일까만 힘만큼 중요한 것이 또 있을까? 몸을 움직이고 살아가려면 체력이 있어야 지탱하고 버틸 수…
현재적 부활 : 현재적 종말론<1> 앞에서 우리가 살펴보았듯이, 성서는 대개 역사적으로 결정적인 전환기, 곧 역사의 종말에, 특히 신약성서에서는 예수의 최종적인…
부활 신앙의 기원과 내용 <4> 바울은 그리스도의 통치(나라)의 현재성을 부인하지 않았지만, 역사의 완성과 전인(全人)의 구원을 바라보았다. 그리스도의 부활은 몸과 역사를…
부활 신앙의 기원과 내용 <4> 신약성서에서 우리는 예수가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개파 사람들과 논쟁한 흔적을 발견하게 된다. “부활이 없다 하는…
부활 신앙의 기원과 내용 <3> 부활 신앙이 본격적으로, 그리고 체계적으로 형성되기 시작한 것은 하나님의 공의에 대한 질문 때문이다. 날로 더…
부활 신앙의 기원과 내용 <2> 하나님의 통치와 하나님의 나라는 어떠한 한계도 모르며, 죽음의 한계도 모른다. 하나님은 죽이기도 하고 살리기도 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