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산책] 「프랜시스 스캇 키」와 ‘미국국가’ 이야기

Google+ LinkedIn Katalk +

지난 1월 21일 미국에서는 조 바이든((Joe Biden, 1942~ ) 미국 46대 신임 대통령의 취임식이 있었다. 취임식에서 미국 국가를 부른 미국 여배우이며 가수인 “레이디 가가(1986~ )”가 열창한 미국국가는 매우 인상적이었다. 경호원의 에스코트를 받으며 취임식 단상에 등장한 레이디 가가는 아름답고 매우 품위 있는 모습이었다.  

평소 개성 있는 의상으로 유명한 “레이디 가가”는 왼쪽 가슴에 황금빛 비둘기 모습의 브로치를 달고 등장하여 극심한 분열과 대립을 겪어온 미국 사회에 평화를 호소하는 듯하였다. 특히 그녀가 입은 붉은색 통치마는 한국 의상의 아름다움을 가미한 것 같아 나는 개인적으로 더욱 깊은 인상을 받았다.  

미국국가의 배경에는 실로 감동적인 일화가 들어있다. 때는 미국이 영국과 독립전쟁을 벌이던 1814년 9월, 영국의 함대가 미국 메릴랜드 주, 볼티모어 항구에 쳐들어와서 ‘맥헨리 요새(要塞)’에 밤새도록 포격을 가하였다. 초저녁부터 시작하여 25시간에 걸쳐서 1500~1800발의 포탄이 발사되었다 한다. 당시 34세의 변호사이자 시인이었던 ‘프란시스 스캇 키(Francis Scott Key, 1779~1843)’는 포로협상을 위해 영국함선에 승선했다가 일시적으로 구류되어 꼼짝없이 이 포격을 지켜보아야만 했다. 밤새도록 영국함대가 포격을 가했으니 ‘맥헨리 요새’는 쑥밭이 된 줄로 알았는데 날이 밝아 바라보니 뜻밖에도 “성조기” 곧 “별이 반짝이는 깃발(Star-Spangled Banner)”은 여전히 펄럭이고 있었다. 얼마나 감격적이었을까! 만일 ‘맥헨리 요새’가 함락되었다면 성조기는 내려지고 대신 영국 국기가 펄럭였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 모습에 깊은 감동을 받은 ‘프랜시스 스캇 키’는 그 감격을 시로 남기려고 주머니를 뒤져보니 펜은 있는데 메모지가 없었다. 뒷주머니에 친구가 보내준 편지 한 통이 있었는데 그 편지 겉봉의 사각봉투를 펴서 거기에 시를 적었다는 유명한 일화가 전해오고 있다. 그 시가 오늘 미국국가 노랫말의 모체가 되었다. 다음은 미국국가의 번역문이다. 

​“오, 그대는 보는가, 새벽녁 이른 빛의 광경을!/ ​황혼의 마지막 광채에 우리는 얼마나 자랑스럽게 환호했던가?/ 줄무늬와 반짝이는 별들의 펄럭임은 위험한 전투에도 이어졌지/ 성벽 너머에서 휘날린 당당함을 우리는 분명히 보았네/ 대포의 붉은 폭음과 포탄의 불꽃은 공중에서 터지고 있었지/ 우리의 깃발이 여전히 거기서 휘날리는 증거라네/ 오, 별이 반짝이는 깃발은 아직도 물결치고 있는가!/ 자유인과 용맹인의 대지위에서!” 

내가 고등학교에서 교편을 잡던 1975년, 학년말이 되어 예비고사도 끝나고 곧 겨울 방학이 되는 12월 중순, 마지막 수업시간이었다. 장소를 음악실로 옮겨 녹음기를 이용하여 미국국가를 함께 공부한 덕분에 지금도 긴 미국국가의 전곡을 암송하고 있다. 세월이 흘러 그해 고3이던 학생들이 졸업 후, 30년 만에 가진 “홈커밍 데이”행사에서 ‘마지막 수업시간’에 배운 미국국가가 좋은 기억으로 남아있다고 회고하던 모습이 기억난다.

우리는 애국가를 부를 때, 부동자세로 서서 엄숙하게 노래를 부르는데 비해 미국인들은 몸을 흔들며, 손짓을 하며 특정 부분의 가사는 반복하거나 길게 늘여서 부르기도 한다. 미국 특유의 자유민주주의 정신을 구가하는 듯하다. 프로복싱 세계타이틀전이 미국에서 열렸을 때, 미국국가를 부른 흑인 여가수는 마지막 부분의 “자유인의 대지위에~”에 해당하는 영어 노랫말 “O’er the land of the FREE!”라는 대목에 이르자 ‘손을 높이 치켜들고 FREE~~! FREE~~! FREE~~!’를 반복해서 불렀는데 이번에 “레이디 가가”는 “우리 깃발이 여전히 ‘거기’ 있었네”에 해당하는 영어 가사 “that our flag was still THERE~!의 대목에서 오른 팔을 앞으로 길게 내뻗으며 “THERE~~!”를 본래 음의 2~3배로 길게 늘여 열창하는 가운데 그녀 특유의 비브라토가 듣는 이들로 하여금 온몸에 소름을 돋게 하였다. 

지난 대통령 선거에서 트럼프와 바이든은 전례 없는 불화의 모습을 보였거니와 미국국가에 얽혀있는 이런 강인한 미국의 독립정신이 향후 미국을 더욱 든든히 세워가는 저력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문정일 장로

<대전성지교회•목원대 명예교수>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