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순절은 기독교 최대의 명절인 부활절에 앞서 40일 동안 주님의 고난에 동참하며 부활을 준비하는 기간이다. 사순절은 역사적으로 금욕과 절제의 기간이었다. 모든 오락이나 육체적 쾌락을 위한 행사가 금지되고 참회와 말씀 묵상과 그리스도의 고난을 기리는 삶이 강조되었다.
한국교회는 사순절이 문화화되어 있지 않다. 사순절에 교회에서 강조하는 것은 특별새벽기도회와 총동원 전도이다. 한 종교에 있어서 예식과 절기의 문화는 아주 중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이를 통하여 종교는 항상 자기 자리를 확인할 수 있으며 흐트러졌던 자세와 잘못된 모습을 반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로서의 자기 정체성을 가장 확실하게 갖고 있는 유대교는 아직도 초막절 등의 절기를 옛 모습 그대로 재현하며 누룩 없는 빵과 천막 생활을 실천하고 있다. 또한 회교가 시행하는 라마단 절기와 성지 순례 등 그들의 종교적 문화의 모습은 너무 엄격하여 소름이 끼칠 정도이다. 우리나라의 불교는 많이 약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연등행사를 비롯한 여러 절기는 눈에 띌 만큼 문화적 가시 현상으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 천주교의 사순절 문화도 우리 개신교보다는 훨씬 더 구체적이고 조직적이다.
여기에 비하면 한국교회의 대부분의 신자들은 교회 절기에 대하여 무관심하다. 사순절이라고 해서 특별히 교회가 강조하는 것도 없고 지키지 않는다고 제재를 가하는 일도 없다. 일류 호텔의 음식문화도 사순절이라고 특별히 자제하고 줄어드는 일이 없다. 교회 지도자의 언어나 행동에 조금도 주님의 고난에 동참하는 모습을 볼 수 없다. 사순절에도 교회의 싸움과 분쟁이 여전하고 차기 선거와 교계의 자리다툼을 위한 물밑 경쟁이 치열하다.
사순절은 특별한 영성회복이 삶의 문화와 더불어 강조되어야 한다. 이것은 교회가 율법주의로 돌아가자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종교 본연의 자세에서 많이 흐트러진 것을 바로잡고 주님의 고난의 의미를 삶에서 강조하므로 세상의 욕심과 허영심으로 얼룩진 교회를 정화시키며 교회의 본질적인 사명을 회복하는 일이다. 오늘날 교회의 권위가 땅에 떨어지고 고급종교로서의 위상이 실추된 이 참담한 현실을 타개할 길은 사순절에 대한 삶의 문화를 세우고 이를 강조하는 데 있다. 올해도 사순절이 그냥 지나가고 있음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문성모 목사
<전 서울장신대 총장•강남제일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