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리더] 8.15 건국 논쟁의 한복판에서

Google+ LinkedIn Katalk +

최근 어느 정치인이 “깨끗하게 나라가 출발하지 못했다”며, “나라를 다시 세운다는 생각으로 새로 출발했으면 한다”고 건국 비판을 시작했다. 이런 맥락은 ‘독재자 이승만이 청일청산하지 못하고 친일파 앞세워 분단국가 만들고, 미국에 빌붙은 매국 세력들이 재벌과 관료를 등에 엎고 전쟁과 반민주적 시대를 통치했다’고 보는 1980년대의 ‘해방전후사의 인식’이 한 몫을 크게 자리하고 있는 것 같다.

8·15는 해방, 독립, 광복의 세 가지 의미로 나타낸다. 신문이나 방송에서 ‘해방’이라는 표현을 보게 되는데, 엄밀히 ‘해방’과 ‘광복’은 다른 것이다. ‘광복’은 주체적으로 국권을 회복하는 것인데 반해, ‘해방’은 타자에 의해 거져 받았다는 것을 포함하고 있다. 상해임시정부의 김구 주석은 우리 스스로 광복을 이루지 못했다는 안타까움에 땅을 치며 통곡했다고 한다.

역사엔 부끄러움이 있다. 삶의 질곡을 이겨내지 못하고 불법을 묵인하고 받아들인 부끄러움, 권력 앞에 양심보다 머리를 숙인 부끄러움, 신앙을 지켜야 한다는 걸 알면서도 질병의 죽음 앞에 떠는 나약한 인간의 부끄러움이 통째로 들어있다. 상상 속 판타지적 역사관이 지난 시절 한때 시대정신처럼 인식되기도 했지만 현재의 달라진 현실에 부합하지 않는다면 생각을 바꾸는 게 옳은 지도자의 자세다. ‘태어나지 말아야 할 나라’ ‘병든 역사’라는 이름으로 국가의 정통성과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부인하는 것은 자기 부정이요 모순이다. 현재 우리 정부는 상해 임시정부를 계승한 정통성을 지닌 정부요, 이승만 등 건국의 아버지들이 현명한 선택으로, 공산화를 막고 지금의 자유 대한민국을 만들어 왔다. 이런 광복이 우리가 보는 드라마나 영화에서처럼 원자폭탄 하나 투하하고 일본 천황이 항복하므로 8월 15일 해방이 되자마자 온 민중들이 거리로 쏟아져 나와 태극기를 흔들며 대한독립 만세를 외치는 것처럼 드라마틱하지 않았다. 당일은 조용했고 만 하루가 지나서야 입소문을 통해서 독립의 기쁨을 만끽한 것이다.

8·15 민족해방은 우리 민족에게 주어진 기회였다. 그러나 준비하지 못한 우리에게는 많은 시간을 허비하며 좌우 민주와 공산, 진영논리에 빠져 서로 대립하는 동안 주도권을 잃고 말았다. 1946년 8월 15일은 해방 1주년으로 비록 좌익과 우익으로 갈려져 기념식이 치렀으나, 그 후 전민족적 기념일로 자리매김하기 시작하였다. 1948년 8월 15일에 한국은 정부수립을 선포함으로써 이날의 역사적 의의를 드높였다. 1949년 이후 8·15는 광복과 단독정부 수립이라는 모습이드러난 날이 되었다.

이처럼 광복절은 우리 근대사에서 많은 굴곡을 겪으며 이뤄낸 민족적 기념일이지만 준비되지 않은 우리에겐 씁쓸한 모습이 자리하고 있다. 어찌보면 이스라엘 민족이나 우리 민족에게 있어 ‘해방’은 하나님이 주신 특별한 선물이었다. 그러나 그 주신 기회를 선용하여 실력을 키우지 못하고 스스로 갈등하므로 오히려 전쟁과 분단을 맞으며 민족통합 실패라는 유산을 남기고 있다. 그러기에 어려울 때일수록 국민의 민도(民度)를 높여야 하며, 교회가 민족을 일깨워 자립(自立) 자강(自强)의 실력을 키우고, 민족의 길을 내야 한다.

광복절을 다시 맞으면서 남북으로 분단되어 대치하고 있는 상황이다. 과거의 어떤 잘못이나 더러움은 반성하고 다시 되풀이 하지 않도록 경계하면 될 일이지, 단지 과거의 사건을 논쟁거리로 삼고 부정적인 모습을 확산하는데 매달린다면 미래가 없다. 혹 오욕의 역사가 있다면 거기에 머무르지 않고 그것을 딛고 한반도의 통일과 동아시아의 평화를 기원하는 영광스런 시대를 열어가는 날로 그 의미를 전환시켜 나가야 하지 않을까.

이효상 목사 (근대문화진흥원 원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