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연구] 구제를 위한 십일조

Google+ LinkedIn Katalk +

성경을 읽다가 보면, 평소에 그냥 지나치던 말이 눈에 확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유레카 순간이라고 하겠다. 신명기에 기록된 ‘구제를 위한 십일조’에 나오는 ‘코데쉬’(qodesh)라는 단어가 그런 경우다. 우리말로 ‘성물’이라고 번역했다. 먼저 신명기의 ‘구제를 위한 십일조’ 말씀을 읽어본다.

“셋째 해 곧 십일조를 드리는 해에 네 모든 소산의 십일조 내기를 마친 후에 그것을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어 네 성읍 안에서 먹고 배부르게 하라. 그리 할 때에 네 하나님 여호와 앞에 아뢰기를 ‘내가 성물(코데쉬)을 내 집에서 내어 레위인과 객과 고아와 과부에게 주기를 주께서 내게 명령하신 명령대로 하였사오니… 내가 애곡하는 날에 이 성물(코데쉬)을 먹지 아니하였고… 내 하나님 여호와의 말씀을 청종하여 주께서 내게 명령하신 대로 다 행하였사오니…’” (신 26:12-14)

이것이 구제를 위한 십일조 규정이다. 구제를 위한 십일조는 3년마다 토지 소산의 십분의 일을 구제를 목적으로 바치는 것이다. 그런데 경제적 약자들, 레위인, 객, 고아, 과부를 돕기 위해 내놓는 십일조를 ‘코데쉬’(성물)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다. 구약성경에서 ‘코데쉬’란 하나님께 바치는 헌물을 뜻한다. “그 땅의 곡식이나 나무의 열매는 그 십분의 일(=십일조)은 여호와의 것이니 여호와의 성물(코데쉬)이라… 소나 양은 목자의 지팡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의 열 번째의 것마다 여호와의 성물(코데쉬)이 되리라.” (레 27:30-32) 이 레위기의 말씀은 ‘코데쉬’(성물)의 뜻을 잘 밝혀주고 있다. 그런데 신명기는 구제를 위한 십일조를 코데쉬(성물)라고 부르고 있다. 이것은 가난한 이웃을 돕기 위한 십일조는 곧 하나님께 바치는 것과 같다는 의미이다. 우리 모두가 잊지 말고 기억해야할 중요한 말씀이다.

유대인들은 경제 관념이 매우 강한 사람들로 알려져 있다. 세계금융계의 거물 로스차일드 가문이나, 미국 금융계를 장악하고 있는 사람들이 유대인들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2천년 이상 나라없는 민족으로 차별과 박해를 받으며 살아오는 동안 유대인들은 경제력(돈)이 그들의 생존을 지켜주는데 필수적이라는 것을 터득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대인들에게는 또 다른 면이 있다. 그것은 가난한 이웃을 돕는 ‘자선’의 전통이다. 역사적으로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은 그들이 모여 사는 곳에는 으레 ‘구제소’를 만들어 가난한 이웃을 도우며 살아왔다. 유대인들의 자선의 전통은 구약의 신명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뿌리 깊은 생활 양식이다.

이스라엘에 가보면 버스터미널 같이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구걸하는 걸인들이 있다. 깡통에 동전을 넣고 흔들어 짤랑거리는 소리를 내며 ‘쩨다카! 쩨다카!’(tsedaqah) 하고 외친다. ‘쩨다카’라는 히브리어는 의(義), 의로움(righteousness)이라는 말이다. 왜 이스라엘 걸인들은 ‘쩨다카’를 외치며 구걸을 할까? 가난한 형제를 돕는 것이 ‘의로운 것’이고 의로운 행동을 하라는 뜻에서 그 말을 외쳐대는 것이다. 조금 심하게 말하면, 구걸하는 걸인은 사람들에게 의로운 행동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는 말이 된다. 여하튼 현대 히브리어에서 ‘쩨다카’는 ‘구제’(charity)라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박준서 교수

<피터스목사기념사업회 회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