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1년 6월 처음으로 광야라는 곳엘 갔다. 이집트의 시내광야와 이스라엘의 유대광야는 내가 생각했던 것보다 작았지만 매우 중요한 무언가가 숨어있을 것만 같은 공간이었다. 광야의 민족 베드윈족이 살고 있었고 그들은 자신만의 문화와 종교를 지키며 고집스러울 정도로 광야에서의 삶을 포기하지 않았다. 불편하고 고단해 보이는 광야의 삶을 그들은 살아내고 있었다. 내게 광야는 충격이었다. 과연 나는 저 베두윈족처럼 살 수 있을까?
이스라엘 민족은 모세와 더불어 광야에서 40년을 살았다. 예수님은 40일 동안 광야에서 금식기도를 하셨다. 나는 광야에서 40일은 고사하고 단 한 순간도 살 수 없을 것 같다. 물도 없고 먹을 것도 없고 아니 그보다 더 두려운 것은 광야가 가진 공포다. 텅 빈 공간이 가진 두려움을 그곳에서 처음 느꼈었다.
그리고 다시 광야를 만난 것은 2000년도에 몽골의 고비 사막을 갔을 때였다. 그때에 고비에서 보았던 황홀한 일몰과 일출은 지금도 잊을 수 없다. 손만 뻗으면 하늘의 별에 닿을 것 같은 무수한 별을 보면서 하나님이 세상을 창조하신 것이 정말 맞다고 생각했었다. 그곳에서 나는 광야의 냄새, 창조의 냄새를 맡았다. 다름 아닌 허브향이었다.
그런데 광야와 사막은 다르다. 광야는 척박한 초원과 돌짝밭이 함께 어우러진 곳이라면 사막은 모래만 있는 곳이다. 내가 갔던 고비에는 광야와 사막이 함께 있었다. 광야의 척박한 초원에도 키 작은 풀들이 자라고 있었는데 그것은 우리네 푸성귀인 부추였다.
그 후로 내가 가장 좋아하는 여행지는 고비가 되었다. 매년 여름에 나는 고비를 간다. 탈북청년들을 비롯해 누구든 고비를 가고자 하는 사람들이 있으면 그들과 함께 고비에 간다. 특별할 것 없는 곳이지만 나는 광야를 체험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에 할 수 있다면 고비 광야로 사람들을 인도한다. 그곳에서 길을 찾고 그곳에서 사랑을 회복하고 그곳에서 평화를 생각하면서 사람들을 고비로 이끈다.
그러나 분명한 이유는 광야에 나가야 하나님이 보인다는 믿음 때문이다. 광야로 나아가야 비로소 하늘이 보이고 하나님의 존재를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광야에 나가서야 비로소 나는 나로서 존재한다. 내가 얼마나 연약한 존재이며 하나님의 도우심 없이 살 수 없는 존재인지를 알게 된다. 광야가 가르쳐주는 두려움과 마주하는 시간이 그래서 소중한 것이다. 나의 교만과 불신앙을 돌이켜 다시 그분에게로 돌아갈 수 있게 해 준 곳이 광야이며 그곳에서 나는 왜 이스라엘이 광야 40년의 순례자로 살아야 했는지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유해근 목사
<(사)나섬공동체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