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리더] ‘좌(左)와 우(右)’

Google+ LinkedIn Katalk +

대부분의 인간은 오른손과 왼손 중 한쪽 손이 우월하며, 오른손잡이가 대부분이다. 습관이나 교정에 의해서 성원 모두가 오른손잡이인 사회도 있다. 좌우의 손의 기능분화, 그 자체는 두 다리로 보행가능하게 된 수작업의 복잡화가 요청한 것이지만, 항상 오른손이 주도적이어야 한다는 이유는 없다. 원숭이도 수작업의 좌우 분화는 보이지만, 교대로 주도적인 손을 바꾸는 경우도 많다. 프랑스의 사회학자 R. 에르츠는 오른손잡이 우월의 사회적 규제를 성(聖)과 속(俗) 또는 정(淨)과 부정(不淨)이라는 종교적인 이원론(양극성)에 유래한다고 주장했다. 확실히 좌우의 대립을, 오른쪽은 정(淨)과 선(善), 왼쪽은 부정(不淨)과 악(惡)이라는 가치를 부여하는 종교문화가 많다. 인구어(印歐語) 중 그리스어, 라틴어 등에서 왼쪽을 나타내는 말(예를 들면 라틴어 sinister)은 악(惡)과 흉(凶)을, 오른쪽을 나타내는 말(라틴어 dexter)은 선(善)이나 길(吉)을 의미한다. 그렇지만 오른쪽과 왼쪽의 대립, 그것만이 단독으로 선과 악, 성(聖)과 속(俗)을 불변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가장 널리 이용되는 좌(左)와 우(右)의 상징성은 선악에 관한 것이다. 좌를 악(惡)으로 보는 습속은 인도, 유럽어계 여러 부족에서 많이 인정된다. 로마의 새 점에서는 왼쪽에서 새가 날아오면 흉조라고 하였다. 그리스도교에서도 왼쪽은 사악한 쪽이다. 그리스도 책형도(磔刑圖)에서는 왼쪽에 흉악한 강도, 오른쪽에 선량한 강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서양에서는 회식 시 주인의 오른쪽에 앉는 편이 격이 올라갔다. 왼쪽이 야당이나 혁신세력을 의미하게 된 기원은 1789년에 설치된 프랑스 국민의회에 있는데, 당시 귀족은 의장석에서 보아서 오른쪽에, 평민은 왼쪽 자리에 앉았다. 급진파인 자코뱅 클럽 등이 거기에 포함되었다. 이 형식이 각국의 의회에서도 답습되어서 좌익은 야당, 그 중에서도 가장 좌측에 급진파가 앉게 되었다. 또한 어느 시기에 유럽에서는 공산당이 왼쪽 끝에 자리를 차지해서, 마르크스주의자들을 ‘극좌’라고 부른 적도 있다.

‘주역(周易)’은 좌를 양(陽)으로 보고, 우를 음(陰)으로 보았다. 이로부터 길한 일에는 왼쪽을 숭상하고 흉한 일에는 오른쪽을 숭상하는 관념이 생겼다. 왼쪽과 오른쪽에 높고 낮음이 있다는 좌우존비(左右尊卑)의 고사성어(故事成語)처럼 좌우의 위치에 따라 지위의 고하(高下)나 길흉(吉凶), 우열(優劣)을 가리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좌우에 대한 존비 관념은 고정불변한 것은 아니었다. 중국의 한(漢)나라 때는 오른쪽을 존귀하게 여겼으나, 당(唐)나라와 송(宋)나라 때는 왼쪽을 존귀하게 여겼다. 원(元)나라 때는 오른쪽을 존귀하게 여기다가 명(明)나라와 청(淸)나라 때는 다시 왼쪽을 존귀하게 여겼다. 신하들이 임금을 알현할 때는 상급자가 오른쪽에 서고, 하급자는 왼쪽에 섰다. 오늘날에도 흔히 사용되는 좌천(左遷)이라는 말은 오른쪽에 섰던 상급자가 강등되어 하급자들이 서는 왼쪽으로 옮겨갔다는 데서 유래된 것이다. 이처럼 시대에 따라 조금씩 차이를 보이지만 대체로 오른쪽을 높이고 왼쪽을 낮추는 우존좌비(右尊左卑)의 관념이 우세하였다. 우존좌비의 관념은 당(唐)나라 때 공영달(孔穎達)의 말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공영달은 ‘좌씨전(左氏傳)’을 해석하면서 “오른쪽은 편리하나 왼쪽은 불편하므로, 도움이 되는 것을 우(右)라 하고, 도움이 되지 않는 것을 좌(左)라고 불렀다(右便而左不便,故以所助者爲右,不助者爲左)” 우리나라의 경우도 남존여비(男尊女卑)와 함께 좌우존비의 관념이 대대로 전하여졌다. 예를 들면, 좌의정(左議政)이 우의정(右議政)보다 높았다.

고영표 장로 (의정부영락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