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들어서 각종 해양미생물(海洋微生物·marine microorganisms)로부터 얻어지는 물질을 연구하고, 그 성과를 활용하는 노력이 국가의 ‘블루(Blue) 미래’를 이끄는 일이 되고 있다. 우리…
김동수의 해양평전
고기잡이 수산업은 고대문명, 중근세의 대항해(大航海), 오늘 21세기 AI시대에 이르기까지 인류 역사 전체를 관통한다. 아프리카 탄자니아 올두바이 협곡에서 발견된 195만 년…
푸른 색깔의 청어(靑魚)는 유럽의 북해(北海)와 북극해(北極海)에 광범위하게 분포 서식하는 어류로서 유럽인들의 일상적인 식자재였다. 청어는 특히 네덜란드, 스칸디나비아 3국, 영국 해역에서…
어류 해조류 등의 수산물이 미래의 식량으로 주목받으면서 어류 양식기술(養殖技術) 발전이 날로 진전되고 있다. 최근에는 해수오염, 해양플라스틱 폐기물의 증가로 육상(陸上)양식으로 진전되는…
바다에서도 육지 이상으로 다양한 식물(植物)이 살고 있다. 플랑크톤처럼 작은 미세조류(微細藻類)부터 미역, 김 같은 바다식물(海藻類)이 2만5천여 종이나 자라고 있다. 그 가운데…
우리 민족은 농업 위주 삶의 역사였으나 조선 후기 실학자들이 등장하자 수산물의 식량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수산업(어종)에 대한 시각이 바뀌었다. 당시 바다…
해조류(海藻類)라 하면 흔히 김을 떠올리지만 파래, 매생이 같은 녹조류와 미역, 다시마와 같은 다양한 갈조류도 포함된다. 그런데 한국의 김은 일본, 중국,…
조선시대에 특정 수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제도가 있었다. 중국 일본 등에서도 행해졌지만 조선 백성들은 군주(君主)가 먹고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특산품을 진상했다. 조선…
한국 초대 이승만 대통령은 수산업의 중요함을 간파한 놀라운 지도자였다. 그는 대한민국을 건국한 후 곧장 남태평양의 원양조업 육성지원 정책을 폈다. 이승만…
1940년대까지 한반도 동해(東海)의 대표 수산물은 명태이고, 서해(西海)는 조기였다. 봄이 되면 서해로 북상하는 조기를 따라 많은 어선들이 흑산도, 위도, 연평도 등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