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의 해양평전] 보신(補身) 먹거리 수산물

Google+ LinkedIn Katalk +

조선시대에 특정 수산물을 임금에게 바치는 진상제도가 있었다. 중국 일본 등에서도 행해졌지만 조선 백성들은 군주(君主)가 먹고 건강해지기를 바라면서 특산품을 진상했다. 조선 왕의 밥상에 오르는 음식은 음양(陰陽)의 균형을 맞췄다. 예를 들면 전복은 임금의 밥상에서 음(陰)적인 역할을 했다. 더운 여름날 체내(體內) 장기를 서늘하게 진정시켜 원기를 회복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영양적으로 평가했다. 문종(文宗)은 전복을 직접 손질해 아버지 세종(世宗)이 드시게 한 것으로 유명하다. 인조는 큰아들인 소현세자(昭顯世子)가 청나라 심양에 끌려가 원기를 차리지 못하고 앓아눕자 생(生)전복을 그곳까지 보냈다. 황해도에서 잡은 전복이 삼양까지 갈 때 상하지 않도록 각 고을 수령들이 교체할 얼음을 가져다 바쳤다. 

그런데 조선시대 진상제도가 강제성을 띠면서 백성들을 괴롭혔다. 정조 기록을 보면 한 해에 제주도 821개, 전라도 450개, 충청도 300개, 경상도 170개 등 총 1천741개의 전복이 진상됐다. 마침내 세조 때 중추원사였던 기건(奇虔)이 제주 백성들이 전복 진상 때문에 너무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고는 3년 동안 전복을 먹지 않았다는 애민(愛民) 이야기가 나왔다. 숙종 때 전라남도 진도군의 김서(金瑞) 등 아홉 사람은 진상할 전복을 캐다가 모두 썰물에 표류해 2년여 만에 고향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태풍을 만난 이들의 배는 17일 만에 류구국(琉球國·오키나와)에 닿았지만, 조선으로 가는 배가 없어 청나라로 보내졌다가 한양으로 돌아왔다. 

『선조실록』에는 당시 해안가 백성들에게 전복 진상이 얼마나 큰 고통이었는지를 보여주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나온다. 왜구에 잡혀가 일본에 정착한 진도(珍島)사람 사화동(沙火同)이란 자가 있었는데, 그는 그 뒤 붙잡혀 온 조선 포로에게 설득해 “조선은 대소(大小) 간의 전복을 한정 없이 징수하여 감당할 길이 없으니, 모두 이곳에 그대로 거주하게 해달라”고 일본 당국에 사정했다는 내용이다.

전복에 대해 현대 식품영양학에서는 “오미(五味) 중 신맛이 강해 간의 열(熱)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뛰어나다. 또한 눈을 밝게 하고 고혈압을 진정시키며 열로 인한 어지러움, 이명(耳鳴) 증상에도 도움이 크다”라고 밝히고 있다. 실제로 전복 껍데기는 탄산칼슘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서 간의 열을 잘 내려 어지럼증이나 시력장애에 개선이 되고, 이명에 특히 좋다. 실제로 눈이 피로할 때 전복 껍데기 20g과 감국 20g을 물 150ml와 함께 넣어 물이 절반 정도 될 때까지 졸인 뒤 식후에 2, 3번 먹으면 도움이 된다.

정약전(丁若銓·1758~1816)은 그의 저서 『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 오징어의 다양한 쓸모를 나열했다. 먹거리뿐만 아니라 지혈제로써 썼다는 것이다. 오징어 뼛가루를 상처에 뿌리면 탄산칼슘 성분이 피를 굳게 한다는 것이었다. 『동의보감(東醫寶鑑)』을 쓴 허준(許浚·1539~1615)은 “오징어 살은 여성의 월경을 통하게 하고, 오래 먹으면 정(精)을 더해 자식을 낳게까지 한다”고 밝히고 있으며 현대 식품학도 오징어는 고단백 저칼로리인데다 피로 해소에 좋은 타우린이 쇠고기의 16배나 된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실제로 단백질, 칼슘, 철분 등이 풍부하여 치아와 뼈 형성기에 있는 어린이가 먹으면 발육이 촉진된다. 진액을 돋우는 효능이 인삼처럼 대단하다. 진액이란 최고의 영양물질로서 피를 위시한 사람 몸의 각종 체액, 호르몬 등을 일컫는다. 뿐만 아니라 실제로 맛이 감미로워 회나 포로 먹기 좋고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으면 군침이 절로 나고 이 밖에 국, 찜, 튀김, 무침, 볶음, 순대, 불고기, 덮밥 심지어 버터구이까지 어떤 방식의 요리법과도 어울린다.

정약전의 『자산어보(山魚譜)』는 바다에서 나는 보약(補藥)급 어물로서 세 가지 귀중품인 해삼, 전복, 홍합과 굴을 들었다. 여기서 굴은 ‘바위 위에 핀 꽃’과 같다하여 석화(石花)라 부르기도 한다. 

성게나 불가사리와 같은 극피동물인 해삼은 실제로 재생력이 아주 강하다. 적의 습격을 받거나 강한 자극을 주면 창자를 버리거나 몸을 스스로 끊어버리기도 하는데 수개월이 지나면 잘려나간 곳이 원래 모습을 되찾는다. 해삼은 우리나라 바다 어디에서나 섭씨 8~10도에서 가장 잘 자란다. 17도 이상이 되면 먹이 섭취를 중지하고, 25도 이상이 되면 여름잠에 들어가게 된다. 해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실질적인 성장기는 12월에서 다음 해 4월까지로 가을이 되면서부터다. 그때부터 서서히 맛이 오르기 시작해 동지 전후가 맛이 가장 좋은 시기로 알려져 있다. 

김동수 장로 

•관세사

•경영학박사

•울산대흥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