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음의소리] 국제회의 통역사가 되려는 이유

Google+ LinkedIn Katalk +

젊은 사람들이 요즈음 취직이 안 되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대학을 졸업하고도 바로 취직이 안 되어 더 공부하는 사람들도 종종 보인다. 취직이 어렵지만 자격증을 취득하면 또 일자리를 바로 찾을 수 있는 직업군도 있다. 그중에 하나가 국제회의 통역사이다. 국제회의시 통역을 맡아 하는 일로 보통은 2~3명이 같이 동시통역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사람들 눈에 직접 보이지는 않지만 부스에 앉아 통역을 하며 청중들은 수신기를 통해 통역 내용을 듣게 된다.

왜 그들이 통역사가 되려고 하는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유 중에는 아마도 국제 통역사에 대한 전문인으로서의 대우와 보수 때문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전문직이라는 것은 통역을 하는데 있어 누구의 간섭도 받지 않고 자신의 실력을 발휘해야 하는 독립성과 예우를 말하며 자신의 일에 대한 대가에 대한 만족도가 다른 직업에 비해 높다는 의미일 것이다. 하지만 가끔은 통역사가 되어 일을 하다가 심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직업을 중단하기도 하는 매우 힘든 직종 중에 하나이다. 통역사 자격증을 딴 이후에도 꾸준히 자신의 영역에서 공부를 할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통역 영역을 정하여 훈련을 하며 전문지식을 습득하는 일을 게을리하지 않는다. 기업이나 기관에 소속되어 일하는 통역사를 인하우스 통역사라 부른다. 인하우스 통역사는 기업이나 기관의 성격에 따라 통역을 맡는 분야가 정해지지만, 프리랜서 통역사가 통역을 맡는 분야는 정치·경제·문화·기술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이렇게 통역을 맡아 실무에 임하는 통역사들도 자신의 말소리가 정확하게 들리기 위해 통역 전 혀를 푸는 운동도 하고 입을 벌려 모음, 자음을 연습하는 일도 수시로 하곤 한다.

전문 통역사가 일하는 면을 보면서 우리나라 수어 통역의 실정은 어떠한가 잠시 생각해 본다. 그 첫째는 수어 통역을 대부분이 초창기에 자원봉사 차원에서 시작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적절한 보수나 대우에 대해 통역을 하는 사람이나 통역을 의뢰하는 사람 모두 별로 신경을 쓰지 않았던 것 같다. 더욱이 이러한 일들이 교회 안에서 이루어진 경우 통역자에 대한 사례에 대하여서는 더욱 서로가 신경을 쓰지 않아 재능기부적 차원에서의 통역이 많이 시행되었던 것 같다.
두 번째로는 전문가로의 대우를 제대로 받고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행사시의 예우나 의전에 있어 적절한 대우를 받고 있는가 하는 문제를 심도 있게 숙고해 보아야 할 것이다. 아직도 전문 수어통역사 제도가 시행되고 있지 않아 전문분야에서 수어 통역을 적절하게 맡아 할 수 있는 인력이 모자라고 있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예를 들어 법적 통역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통역사가 먼저 판검사들이 이야기하는 법정 용어를 본인이 먼저 이해하여야만 제대로 통역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에 다른 전문 통역의 경우도 마찬 가지인데 우리나라는 아직 전문 수어통역사 제도가 실시되지 않고 있어 보다 한 단계 높은 양질의 수어 통역을 제공받을 수 있는 공인된 제도와 조직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수어통역사가 수어 통역을 하기 전 수어를 잘하기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는지 또 이를 위한 매뉴얼이 있는지는 확인하지 못하고 있지만 국제회의 동시통역사가 통역하기 전 모음 자음을 발성 연습하고 혀를 풀고 입 운동을 한다는 이야기는 많은 것을 시사하고 있다.

안일남 장로
<영락농인교회· 사단법인 영롱회 이사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