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이슈] 달란트대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린 사람들 (345) 알브레히트 뒤러 ⑪

Google+ LinkedIn Katalk +

자화상, 사회적 지위 · 신체 표현 도구로 사용

‘모피 코트를 입은 자화상’ 르네상스 화풍 접목

그 이후로 몸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하다 1528년 58세로 사망했다. 그가 죽은 직후 제자 한스 발등(Hans Baldung)은 그의 머리카락을 잘랐고, 다른 이들은 그의 얼굴과 손을 석고로 떴다.

초상화(portrait)는 <portray>의 어원 라틴어 ‘protrahere’에서 왔다. “발견하다”의 의미인 protrahere 앞에 ‘self’를 붙여 ‘자기 자신을 발견하기 위해 그리는 그림’인 자화상(self-portrait)을 태동시켰다. 자화상은 화가가 자기 자신을 모델로 그리는 초상화이다. 자화상이란 “나는 누구인가”라는 데서 화가로 하여금 붓을 들게 한다. 뒤러는 자화상의 형식을 빌려서 사회적 지위와 신체를 나타냈는데 자신을 선전하는 도구로 사용하기 위함이었다. 

화려한 모피 코트를 입은 그는 정면을 응시한 채 오른손을 들어 손가락으로 심장을 가리킨다. 길고 어두운 고수머리는 어깨까지 내려오고 얼굴과 정삼각형을 이루었다. 오른손은 모피 코트의 칼라를 잡았으며 오른손도 화면 좌위 중앙에 놓여 있다. 뒤러가 활동하던 시대에 정면을 응시한 자세는 그리스도나 왕에게만 허용되었다. 이렇게 자신을 묘사한 것은 하나님을 닮은 사람이라는 뜻이다. 하나님이 인간을 자신의 형상대로 창조하신 최초의 창시자라면 화가의 창조력은 하나님의 능력 다음으로 믿었다. 그림 왼편에 <1500년>이라는 제작년도가 있고 자신의 이니셜 <A. D>를 남겼으며 오른쪽 배경에는 라틴어로  “나, 뉘른베르크 출신의 알브레히트 뒤러는 28세의 나이에 불변의 색채로 나 자신을 이렇게 그렸다”고 썼다.

뒤러는 왕족과 귀족이 입는 모피 코트도 파격이었다. 28세의 젊은 화가 뒤러는 당당한 자신을 나타냈다. 이러한 뒤러는 이탈리아에서 경험한 인문주의적 자의식이었다. 뒤러는 모피로 자신의 부유함을 나타냈고 잘 다듬어진 헤어스타일과 수염은 귀족의 모습이었다. 

뒤러는 <모피 코트를 입은 자화상>에서 작품이 실물 크기와 흡사하고 치밀하게 세부를 묘사하는 엄격함과 치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통적인 북유럽 화풍에 인체를 부드럽고 풍만하게 표현하는 것이 특징인 르네상스 화풍을 접목시켰다. 한껏 섬세해진 뒤러의 화법은 라파엘로마저도 극찬했다. <모피 코트를 입은 자화상>에서 굵고 풍성한 머릿결을 표현한 기법을 보고 베네치아 파를 대표하는 화가 조반니 벨리니(Giovanni Bellini, 1430-1516)는 “뒤러의 그림 속 머리카락은 아마도 특수한 붓으로 그렸을 것이다”라고 했다. 

뒤러는 <모피 코트를 입은 자화상>을 그리기 전 이십 대 초반에도 자화상을 몇 점 그렸다. 그 중 <스물 두 살의 자화상>은 그가 정식으로 그린 최초의 자화상이다. 그림 속 화가는 매우 세련되고 사랑스런 청년 기사의 모습이다. 주름을 많이 잡아 몸에 꼭 끼는 흰색 상의와 좁은 소매의 검은 외투는 북유럽에서 유행하던 패션이다.

이승하 목사<해방교회 원로>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