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돌아 본 삶의 현장] 토종닭과 씨암탉 <1>

Google+ LinkedIn Katalk +

1962년은 단기연호를 폐지하고 새롭게 서력을 쓰기로 한 해였다. 내 생활에도 단기가 서기로 바뀌는 것만큼 큰 변화를 겪었는데 그것은 불신자의 생활에 종지부를 찍고 신자라는 새로운 인생을 시작한 일이었다. 이제는 누가 뭐래도 나는 기독교인이었다. 그러나 새로운 삶의 흥분은 사라지고 세례를 받던 그 신선한 기쁨도 희미해져서 큰 파도가 지나간 후 같은 고요와 단조로움이 내 생활을 이끌고 있었다. 한동안 신앙의 침체기가 온 것이다. 해변의 바위에 부딪히고 물러난 큰 파도처럼 유학의 꿈도 사라졌고, 내가 의지하던 한(韓) 교장도 한국인 교감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가끔 출강하던 대전대학으로 옮겨가 버렸었다. 거기다 정국도 심란하였다. 5·16쿠데타를 일으키고 최고 의회 의장이 된 박정희 대장은 민정 이양방침을 재천명했지만 아무도 믿지 않고 있었다. 정가와 학원가는 술렁이고 있었다. 그러나 종교인은 요동하지 말고 오직 기도에만 힘써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자기감정을 억제하려고 억지로 삼키는 진정제와 같은 말이라고 생각되었다. 책임회피를 하는 종교인의 이중성을 보는 것 같기도 했다. 부정에 맞서지 못하는 비굴한 종교인의 자기합리화처럼 느껴진 것이다.

겨우 기독교에 발을 들여놓은 나는 부르심을 따라 순종하고 사는 것밖에 할 수 있는 일이 없다고 생각했다. 그러는 사이에 나는 3번째 어린애를 선물로 받았다. 5년 안에 유학하겠다는 생각, 그리고 10년 안에는 대학교수가 되겠다는 생각은 무지개 같은 꿈이었다. 아내는 별로 입덧이 없었다. 첫 딸 때는 그렇게 입덧이 심했는데 둘째, 셋째 때는 입덧이 거의 없었다. 두 어린애에 시달리며 지내면서도 천부적인 어머니의 기질을 가진 여인처럼 새로 주실 어린애를 위해 여러 가지 준비도 하며 행복해했다. 우리는 세 번째의 어린애 분만에는 상당한 전문인이 되어 자신이 있었으므로 분만 일이 가까워져도 이곳저곳 지혜를 구하러 다니며 호들갑을 떨지도 않았다.

여느 때처럼 주기적인 진통이 오면 병원으로 가리라는 생각으로 느긋하게 기다리고 있었다. 그런데 분만 일이 지나도 산기가 없더니 갑자기 하룻밤은 새벽 2시쯤 진통이 밀어닥쳤다. 그 집에는 전화가 없었고 또 가까운 집에도 당시에는 전화가 없었다. 차를 잡으려면 학교에 가 전화하거나 좀 번화한 먼 길까지 나가 기다리고 섰다가 차를 타고 들어올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그러다간 무슨 일이 생길 것만 같았다. 병원은 미나리 강둑을 걸어 언덕길을 올라가 빠른 걸음으로는 10분쯤이면 갈 수 있는 거리에 있었다. 우리는 좀 어렵지만 걷기로 하였다. 미나리꽝을 건너는 곳까지는 그래도 별문제가 없었다.

그런데 고갯길을 오르면서부터는 진통이 심해지기 시작했다. 마음은 초조해지는데 업고 갈 수도 없고, 큰일이었다. 나는 뒤에서 사람 인(人) 자의 작대기가 되어 힘껏 밀어올리고 아내는 몸을 뒤로 젖히고 정신없이 걸었다. 그러다가 진통이 오면 또 쭈그리고 앉아 얼마를 신음하였다. 둘이서 진땀을 흘리고 그래도 별일 없이 병원에 도착한 것은 4시가 다 되어서였다. 병원에서 그녀는 미리 와 있는 한 산모를 딴 곳으로 보내고 금방 아들을 순산했는데 그때가 12월 14일 4시 5분이었다. 아내는 길에서 출산할 뻔했다. “하나님 감사합니다” 하는 기도가 절로 나왔다. 그리고 이제는 더는 아내를 고생스럽게 하지 않고 살아야 겠다고 결심했다. 60년 4월, 61년 8월, 62년 12월 이렇게 만 2년 8개월 만에 세 어린애를 얻었으니 하나님의 큰 축복이었지만 이 세 자녀를 줄줄이 달고 다니는 우리를 보면 토종인 씨암탉과 수탉으로 볼 것이었다. 지금 생각하면 가족계획도 할 줄 모르는 무모한 부부라고 말할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우리는 그때 전혀 그것을 의식하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그때 나는 병원에서 유학이고 뭐고 모든 환상을 벗어버리고 남편과 아버지의 의무를 충실히 해야겠다고 스스로 다짐하였다.

오승재 장로 

•소설가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오정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