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사] 믿음으로 한국 땅에 뛰어든 배위량 목사 (100)

Google+ LinkedIn Katalk +

배위량의 제2차 순회 전도 여행 (79)

구미에서 상주까지 (27)

수기로 쓰여진 <일기 2차본>에는 나오지 않지만, <일기 1차본>인 에 ‘4월 22일 토요일 정오, 대구’란 제목으로 나오는 일기 부분을 이상규는 번역하여 <일기 2차본>, 즉 이상규가 번역할 때 참조한 배위량의 수기 일기에 첨가했다. 하지만, 그는 그 부분이 배위량이 4월 22일(토요일) 정오에 대구에서 기록하여 미국선교본부에 보내었던 선교보고서란 것을 깨닫지 못한 채 위에 필자가 적시한 인용구와 함께 해당 부분을 첨가하여 수록했다.
이 점에서 보면 리처드 베어드가 ; 그 후에는 를 편집하면서 자신의 아버지의 <일기 원본>을 기준으로 하여 (1) ‘배위량의 선교보고서’ + (2) ‘배위량이 보내 편지’를 함께 더하여 편집했기에 <일기 원본, 즉 배위량의 친필 일기>에 (1) ‘배위량의 선교보고서’ (즉, ‘해당 사건과 해당 날짜에 관한 배위량의 친필 선교보고서’) + (2) ‘배위량이 보낸 편지’ (즉, ‘해당 일자에 적당한 선교적인 마음과 환경을 적시한 배위량의 친필 편지’)를 더하여 편집한 은 <일기 원본>에 해당 기간에 기록한 <일기 원본>와 동일한 시간과 공간에서 기록했기 때문에 동일한 선교적인 환경에 대한 기록이기에, 배위량이 순회 전도할 당시의 일기에 수록되지 않은 부분을 더 보충하는 사료로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배위량 연구를 위해서는 <일기 원본>을 더 분명하게 하는 배위량 연구의 또 다른 ‘원본 자료’로서의 권위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배위량의 <일기 1차본>과 <일기 2차본>이 다름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두 가지 이유를 가정했다. 그 다른 이유 중에서 첫 번째 이유에 대해서는 앞에서 이미 논증했다. 이제 두 번째 이유를 찾아야 한다. 그 두 번째 이유를 필자는 아래와 같이 가정을 했다.

2. 익명의 필사자가 배위량이 순회 전도 여행시에 기록한 <일기 원본>을 기본으로 하여 <일기 2차본>을 손으로 다시 베겨쓸 때 그대로 옮겨쓰지 않고 <일기 원본>에 더하여 자신이 경험한 것으로 <일기 원본>에 주석적인 첨가를 했다.

앞으로 획기적인 배위량과 관련된 사료나 자료가 발굴되든지 하며 모를까 지금과 형편에서는 필자의 가정도 배위량이 한국 초기 선교사로 일한 것에 대하여 하나의 길이 될듯하여 부족하지만, 그것을 진술하고자 한다. 이 가정은 필자가 현 시점에서 비역사가의 안목으로 가정하는 것이다. 이렇게라도 하는 것은 앞으로 역사가들의 활발한 조명과 연구를 기대하면서 우선 길을 열고자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과 같이 배위량에 대한 연구가 불모지 같은 상황에서는 필자와 같은 비전공자라도 나서야 배위량에 대한 연구가 그치지 않고 이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필자는 교회사 중에서 <초기 한국교회사>나 <초기 한국선교사>를 전공하지 않았다. 단지 신학이란 큰 테두리 안에서 함께 일한 한 사람으로서, 그것도 배위량의 일기를 읽으면서 배위량이 선교 현장에서 보고 듣고 경험하면서 느꼈을 법한 것들을 알기 위해서 현장을 여러 번 도보로 직접 걷고 답사하면서 순례했던 한 사람으로서, 직접 경험한 것들과 배위량이 직접 쓴 문헌들과 연구 문헌들을 반추하면서 이 글을 적고 있다.
그리고 필자는 성서 신학자로서 성서신학의 본질인 텍스트의 원문(原文)을 찾고 그 원문이 말하는 것이 그 성경 저자의 신학을 찾는 것이 신학의 단초라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성서 신학자이다. 이런 성서 신학자의 입장에서 필자는 우선 이 일을 생각했다.

이렇게 볼 때 각각 다르게 남겨진 배위량의 두 개의 손으로 쓴 일기, 즉 리차드 베어드가 을 편집할 때 대본으로 삼았던 ‘손으로 쓴 일기’ 즉 ‘<일기 원본>’이 아직도 존재한다면, 세 개의 일기가 전승되는 셈이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1. ‘손으로 쓴 일기’ => <일기 원본>
2. => <일기 원본> + ‘배위량의 선교보고서’ +‘배위량이 보내 편지’ => <일기 1차본>
3. 이상규 옮김, 『숭실의 설립자. Dairy of William M. Baird 1892.5.18.-1895.4.27.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 베어드 자료집 2(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 박물관, 2013) 번역시에 보았던 수기 일기 =><일기 2차>

만약 배위량이 ‘손으로 쓴 <일기 원본>’이 아직도 존재한다면 오직 그것만 원본임을 더 말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만약 <일기 원본>이 지금 더 이상 존재하지 않다면 그 원본을 찾기 위한 복원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필자는 비역사가의 한계 안에 있고 더욱이 미국에나 한국에서 ‘손으로 쓴 일기’, 즉 <일기 원본>을 찾고자 노력을 하지 못한 한계 안에 있는 입장에서 와 <이상규 옮김, 『숭실의 설립자. Dairy of William M. Baird 1892.5.18.-1895.4.27.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 베어드 자료집 2(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 박물관, 2013)>가 서로 다름을 통해 이 두 문헌이 각각 다른 일기를 대상으로 윌리엄 베어드가 편집할 때 원본으로 삼은 ‘수기 일기’와 이상규가 번역할 때 원본으로 삼은 ‘수기 일기’가 서로 달랐을 것이라는 가정을 한 것이다. 만약 와 <이상규 옮김, 『숭실의 설립자. Dairy of William M. Baird 1892.5.18.-1895.4.27. 윌리엄 베어드 선교일기』. 베어드 자료집 2(서울: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 박물관, 2013)>이 세상에 나오지 않았다면, 서로 비교하고 연구할 대상이 없어 이 모든 일을 아무도 시작도 하지 못했을 것이다.
이런 점에서 보면 배위량의 일기를 편집하고 출판한 리차드 베어드, 그리고 리차드 베어드가 편집한 책에 있는 일기와 다른 수기 일기를 발굴하고 그것을 한국으로 가져와서 번역한 이상규나 이상규가 번역한 것을 출판한 숭실대학교는 한국 신학계에 엄청난 공헌을 한 것이다.

배재욱 교수
<영남신학대학교>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