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단] 우리의 뒷모습이 아름다워야 한다.

Google+ LinkedIn Katalk +

우리는 우리들의 뒷모습을 스스로는 볼 수 없다. 인체의 구조인 오감(五感)이 앞에만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눈·코·입·귀의 감각이 뒤에는 없기에 꼭 뒷모습을 보려면 두세 개의 거울을 놓고 되비치면 볼 수는 있다. 그런데 그것은 역시 실상이 아닌 허상이다. 그림자일 뿐이다. 

사람마다 앞모습은 그런대로 의젓하게 보이기도 하고 때로는 사람답게 보이기도 한다. 그것은 거울을 보면서 얼굴과 옷매무새를 단장했기에 그렇다. 그런데 뒷모습은 그렇지 못하다. 오늘 아침 아내로부터 들은 말인데 ‘당신의 뒷모습을 보면 어딘지 모르게 늙은 티가 난다’고 하지 않는가. 어쩐지 애처롭게 보인다는 뜻일 것이다. 나도 남들이 걸어가는 뒷모습을 보면서 허리와 어깨를 좀 펴고 늡늡한 모습으로 걷기도 하는데 그때뿐이지 긴장이 풀리면 곧 본연의 자태로 돌아간다. 뒷모습은 허세나 과장이 전혀 없는 본래의 모습만 보인다는 뜻이다.   

그러나 오랜 세월 동안 닦아진 마음의 자세는 분명히 인격화된다. 교육이 절실히 필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관학교 생도들의 걸음걸이를 보라. 항상 정연하고 의젓하지 않는가. 단 몇 년간의 훈련에도 그같이 정교한데 오랜 세월 닦아진 삶의 자세는 얼마나 아름다울까? 이런 생각하다보니 도산 안창호 선생이 말한 ‘인물공부’가 떠오른다. 1913년 도산은 미국에 유학한 청년들을 규합하여 홍사단을 조직했다. 그들에게 “나라 없는 설움은 일찍이 인물공부를 못했기 때문이다. 또 우리에게는 인물(人物)이 없다고 한탄하는데 인물이 되려고 마음먹고 힘쓰는 사람이 없는 까닭이다.”라고 힘주어 말했다. 

인물공부란 국민의 리더가 되려는 길이다. 그런 공부도 없이 명예욕에 불타고 보니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주견도 없이 자기의 사상(思想)인양 외치고 나니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구체적인 청사진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정책인양 제시해 놓았다가도 여론에 부딪히면 그럴싸한 이론을 제시하여 손바닥을 뒤집듯 쉽게 바꾸어 버리는 얄팍한 심리를 보여주고 있으니 그들이 우리를 얼마나 실망시켰는가. 그뿐이 아니다. 그들이 살아온 뒷모습을 보면 구릿한 냄새를 풍기고 있고 주위에는 흙탕물이 고여 있다. 그러니 어찌 이들이 오래도록 인물공부를 열심히 해왔다는 증거이겠는가? 참으로 안타깝기 그지없다.   

지도자는 신뢰가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신뢰를 받지 못한 목소리는 아무리 높여도 허공의 메아리일 뿐이다. 이러한 상황을 시대의 역사로 기록되어 남겨지는데 이래도 좋은가. 서로 소통되지 않으면 동맥경화 현상을 일으켜 우리 사회와 국가가 불행해지는데 이래도 좋은가. 

우리의 뒷모습을 세계의 시민들은 보고 있다. 우리의 현실을 똑똑히 눈여겨보고 있다. “한국을 보라” 하지 않는가. 그 실례의 하나로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연예계 활동이다. 어찌 다 일일이 열거하겠는가. 그런데도 우리는 참으로 낯뜨거워 고개를 들수 없는 일이 있다. 다스리는 쪽에서나 다스림을 받는 쪽에서 하나가 되지 못하고 서로 싸움판을 벌이고 있다. 그런데 동조자들마저 한 패거리가 되어 서로 물고 뜯으니 얼마나 저질스러운 모습인가. 이것이 일상적인 언행이 되어 버린 우리의 현실이니 부끄럽기 짝이 없다. 이런 사실을 깊이 반성하고 조심해야 한다. 바짝 정신 차려야 한다.        

하재준 장로

<(중동교회(협신)은퇴·수필가·문학평론가>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