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비사] 신앙을 보는 눈이 바뀌어 간 이승만 ③

Google+ LinkedIn Katalk +

1. 신앙관이 바뀌면 세계관이 바뀐다

이승만의 신앙관은 배재학당 입학을 전후해, 동도동기에서 동도서기를 거쳐 서도서기로 나아갔다. 여기서 도는 신앙, 기는 문명을 말한다. ‘신앙도 문명도 동양의 것’에서 ‘신앙은 동양, 문명은 서양’으로 갔다가 ‘신앙도 문명도 서양의 것’으로 나아간 셈이다. 

이승만의 신앙관의 변화는 그가 서양 선교사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로도 연결되었다. 한성감옥에서 예수를 만나기 전 이승만은 선교사들에게 증오와 불신을 품었었다. 그러나 한성감옥에서 예수를 만난 후 선교사들을 자기들이 가지고 있는 값진 것을 혼자 알기 아까워 목숨 걸고 전해주러 온 고귀한 신사 숙녀들로 여기게 되었다.

이승만의 신앙관의 변화는 옥중 죄수에 대한 태도의 변화로 이어졌다. 그는 무려 40여 명 –혹자에 의하면 48명-을 전도했다. 그 기초가 된 생각이 무엇인가. 의원은 건강한 자에게가 아니라 병든 자에게 쓸 데 있다는 하나님의 말씀에 감읍한 까닭이었다. 이것이야말로 세상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과는 전혀 다른 하나님의 말씀이라고 본 것이다.

그가 나라를 생각하는 태도를 이전과 전혀 달리한 것에도 예수님의 말씀이 적중하고 있었다. 예수는 온 인류를 위해 십자가를 지셨는데 나도 내 조국 내 나라 백성을 위해 십자가를 지고 사랑해야 할 것이 아닌가 하는 간절한 마음을 갖게 되었다.

여기 이승만의 신앙이 가진 생동력이 돋보인다. 그의 신앙은 그의 생각을 바꿔놓았다. 그의 신앙은 그의 행동을 변화시켰다. 영은 생각을, 생각은 행동을, 행동은 환경을, 환경은 습관을, 습관은 문화를 낳는다. 이승만은 일생 예수의 사람으로 살아갔다.

2. 이승만의 신앙관과 한․중․일 개화 세력의 서양문명을 대하는 태도

이승만이 회심할 무렵 고종과 개화파가 가진 서양문명에 대한 태도에는 비슷한 모양새가 있다. 즉 동도서기이다. 도는 동양의 것을 기는 서양의 것을 취한다는 태도이다. 먼저 개화한 일본도 이와 같은 자세를 취했다. 화혼양재 –혼은 일본의 것, 기술은 서양의 것– 이다. 중국 역시 이와 같은 태도인데, 중체서용 –몸은 중국의 것, 쓰는 것은 서양의 것– 이다.

당시 개화파가 주를 이뤘던 서울의 교회가 지지부진한 데는 다 이유가 있었다. 중국에서 공산혁명까지 일어나게 된 것이나, 일본의 기독교가 지금 인구 1% 정도에 머무른 데는 다 이유가 있었다. 본질적인 신앙은 바꾸지 않고 쓰임만을 바꾸는 것은 한계가 있다.

당시 일본에 가 있던 김홍집에게 「조선책략」을 써서 권한 중국인 황준헌이라는 사람이 있다. 그에게도 미국은 기독교국가가 아닌 단순한 문명국가로서 보였다. 그래서 이런 조언을 하고 있었다. “한국이 살길은 중국과 친하고, 일본과 연결되고, 미국과 연합해, 러시아를 막고, 자강을 도모하는 데 있다.” 한-중-일-미 대 러시아의 구도를 제시하고 있다. 지금 이 구도가 어떻게 되었나. 대한민국과 미국은 각각 기독교신앙을 바탕으로 세워진 나라로서 한미동맹으로 든든하게 결속되어 있다.

류금주 목사

<전 서울장신 교수·현 청교도신학원 교수>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