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앙산책] 나의 영원한 스승 ‘샤프’ 선생님

Google+ LinkedIn Katalk +

이 글은 극동방송 이사장 김장환 목사님과 미국인 사모님 사이에 태어난 장남 김요셉 목사의 글입니다. 김요셉 목사는 어린 시절 그의 소원은 검은 머리에 황색 피부가 되는 것이었을 만큼 그가 혼혈아라는 이유로 친구들의 놀림을 많이 받았습니다. 『삶으로 배우는 것만 남는다』라는 자신의 저서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저는 수원에서 태어나서 초등학교 3학년까지는 한국 학교를 다녔습니다. 초등학교 4학년이 되던 해 여름, 안식년이 되어 우리가족은 부모님을 따라 어머니의 고향 미국 ‘미시건’으로 갔습니다.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혼혈아라는 꼬리표”를 달고 한국 학교를 다녔던 저와 제 동생에게 안식년은 하나님이 주신 특별한 선물과도 같았습니다.

우리형제는 미국교회의 선교관이 있는 학교에서 공부하게 되었습니다. 첫 등교하는 날, 학교 정문이 가까워지자 나는 가슴이 콩닥콩닥 뛰기 시작했습니다. 학교 가면 아이들이 날 좋아할까? 생김새는 미국 애들과 비슷하니깐 날 놀리는 아이들은 아마 없겠지? 공부는 따라갈 수 있을까? 엄마랑은 영어로 말은 했지만 영어 공부를 해 본 적도 없고 영어 책도 읽을 줄 모르는데… 별별 생각이 머리를 스쳐갔습니다. 저는 4학년 교실에 배정되었습니다.

첫 시간은 영어 단어의 스펠링을 복습하는 시간이었습니다. 선생님은 두툼한 단어 카드를 손 안에 감추고 말했습니다. “이쪽 앞줄부터 시작 할 거야!” “스프링” 그랬더니 맨 앞줄 아이가 일어나서 또박또박 말했습니다. “S-P-R-I-N-G.” “좋아, 다음은, 뉴스페이퍼.” ‘저는 선생님 말씀을 들을 줄은 알지만 스펠링은 모르는데 어떡하지? 첫 날부터 창피를 당하면 앞으로 어떻게 학교를 다니지?’ 걱정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습니다. 

다음 순간 선생님의 시선이 저와 딱 마주쳤습니다. 그때, 선생님은 카드를 내려놓고는 저를 불렀습니다. “요셉, 앞으로 나올래?”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습니다. 얼굴이 빨개져서 앞으로 나갔더니 선생님은 저더러 칠판 앞에 놓인 분필을 잡으라고 하셨습니다. 나는 “우리 담임 선생님 진짜 인정도 없으시고 잔인 하시네. 이제 나는 웃음거리가 되거나 바보가 되거나 둘 중 하나겠지…”

선생님은 아이들에게 설명하셨습니다. “내가 너희들에게 어제 얘기했지 오늘 우리 반에 새로 들어온 요셉인데 요셉은 한국에서 온 선교사님 자녀야. 요셉은 한국이란 곳에서 태어나서 한국어를 아주 잘 한단다. 요셉아! 선생님 이름을 한국말로 써볼래? 선생님 이름은 ‘샤프’야.” 나는 칠판에 선생님 이름 ‘샤프’를 한글로 또박또박 적었습니다. 그것은 식은 죽 먹기였으니까요. 칠판에 선생님 이름을 쓰고 돌아섰는데 교실에 난리가 났습니다. 한 남자애가 손을 들고 말했습니다. “요셉아! 내 이름도 한국말로 써줄래?  내 이름은 ‘탐’이야.” 내 이름도… 나도 나도… 나는 ‘메리’야. 나는 ‘수잔’이야… 내가 이름을 적을 때마다 아이들은 감탄하며 박수를 쳤고 나의 근심걱정과 두려움은 순식간에 기쁨과 자신감으로 바뀌었습니다. 

선생님이 천천히 말씀하셨습니다. “요셉이 한국말을 아주 잘 쓰지? 그리고 한국말도 참 잘 한단다. 너희들도 외국의 대사나 또는 선교사가 되려면 다른 나라 말을 이렇게 잘해야 하는 거야, 알았지?” 그 순간 저는 한줄기 따뜻한 빛을 느꼈습니다. 환하고 고운 빛이 내 안 어딘가에 숨어있는 어두움을 말끔히 몰아냈습니다. 1년 내내 우리 반은 물론 다른 교실에서도 “한국말로 이름 쓰기”가 학교에서 대유행이 되었고 저는 학교의 대 스타로 급부상했습니다. 그날의 일을 떠올리면 아직도 저는 가슴이 뜨거워집니다. “영어 못하는 파란 눈을 가진 아이”가 될 뻔했던 저를 선생님은 “한국어 즉 외국어 잘하는 아이”로 만들어 주셨습니다.

그날 ‘샤프’ 선생님은 저에게 굉장히 중요한 교훈을 주셨습니다. 우리 반 담임 샤프 선생님은 제가 못하는 것도 무엇인지 잘 알고 계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저의 잠재력을 더 잘 알고 계셨습니다. 혼혈아로 늘 열등감에 시달려 온 저에게 큰 자신감을 심어 주셨습니다. 훗날 저는 대학 진학 후, 내내 장학금을 탈 수 있었던 것도, 또한 트리니티 대학원 기독교교육학과 역사상, 최연소로 박사학위를 딸 수 있었던 것도 그 때 얻은 자신감 때문이었습니다. 

한 평생 학생들을 가르쳐온 문 장로는 이 글을 읽으면서 새삼 스승의 역할의 소중함을 깨닫게 됩니다. 나에게 다시 젊은 시절이 온다면 힘들어 하는 제자에게 샤프 선생님과 같은 사려 깊은 스승이 되어주고 싶습니다.

문정일 장로

<대전성지교회•목원대 명예교수>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