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돌아 본 삶의 현장] 삼성 아파트

Google+ LinkedIn Katalk +

나는 1987년 초에 삼성 아파트로 옮겼다. 이곳은 한남대에 새로 부임해 온 교수도 몇 사람 있었고 테니스 코트가 있는 것이 마음에 들었다. 그뿐 아니라 아파트 주변에 병원도 있었고 충남대 종합병원은 도보로 20분 정도의 거리였다. 아파트 안에 은행이 있었고 그곳을 지나면 밖에 초등학교가 있어 애들 교육하기도 좋은 곳이었다. 아침저녁에는 그곳에서 조깅하는 사람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또 바로 옆이 서대전역이었다. 아내가 무엇보다 좋아한 것은, 후문을 나가면 바로 있는 노점상이었다. 간단한 건 무엇이나 살 수 있었고 또 음식점 골목이었다. 처음 시작한 아파트 생활이어서 싱크대, 화장실, 침실 등 모두 편리하고 마음에 들었다. 남쪽으로 베란다가 있었는데 화초를 기르기에 안성맞춤인 곳이었다. 미국에서 살던 아파트보다 더 편리한 것 같았다. 

아내는 베란다에 작은 화분을 갖다 놓기 시작했다. 점차 많아지자 철물점에서 책꽂이처럼 생긴 조립식 선반을 사와 꽃을 진열했다. 그러다 아예 대리석 돌판을 가져다 베란다를 꾸며 정원을 만들었다. 오래 지내자 아파트에서 무거운 대리석 선반을 가져오는 것은 안 된다고 금하기까지 여러 가지 분재와 꽃들로 베란다는 가득 차게 되었다. 조치원에 있는 분재원에 가서 배우기도 하고 또 욕심나는 것이 있으면 보고 와서 값이 내리는 걸 기다려 사오기도 했다. 한때 미국에 이민 가신 한 장로님은 우리 집을 방문하고 세계에서 제일 베란다에 꽃을 잘 가꾼 가정이라고 칭찬하고 가셨다. 그 말도 맞을 듯했다. 어느 누가 30평도 못 되는 작은 아파트에서 이렇게 많은 꽃을 정성껏 가꾸겠는가? 

나는 처음 이 아파트에 이사와서 자가용이 없었기 때문에 학교 통근버스를 타고 다녔다. 그때는 돈이 있는 교수도 운전을 두려워해서 차를 안 사는 때였다. 많은 교수가 시내에서 버스로 출퇴근했기 때문에 아침 첫 교시가 시작되기 전 몇몇 교수들은 모여서 함께 「다락방을 읽고 묵상하며 기도로 하루를 시작했다. 그것이 대전대학의 전통이었다. 그러나 자가용이 생기면서부터 점차 이 모임은 없어지고 일주일에 한 번씩 요일을 정해 기도 모임을 하기도 했다. 학교문제로 정신이 없는 보직교수보다는 이것은 비교적 한가한 평교수의 차지였다. 이 시기에 대학신문에 내가 쓴 ‘교수 단상’의 일부를 당시를 회상하며 올린다. 

우리 과는 오래전부터 민주화되어 학과장을 직선하였다. 그러지 않았다면 50대 중반인 내가 학과장이 되었을 리 만무하다. 아마 나이와 텃세에 억눌린 나이 어리고 풋내기 심부름꾼을 과장으로 만들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이 민주화 때문에 나는 수난이 많다. 체육대회 때는 400m 계주를 과장이 끼어 뛰어야 한다고 나는 젊은 딴 과장들과 겨루게 되는데 그러고 나면 한동안 몸살을 해야 한다. 올해 체육대회 때는 또 ‘5인6각(5人6脚)’을 한다니 나를 가운데 집어넣고 양발을 꽁꽁 묶어서 만일 박자를 못 맞추면 쓰러져 허리를 다치거나 목이 삐어 병신 같은 모습으로 교단에 서야 할지도 모른다. 그뿐 아니라 나는 신입생 환영회 때는 꼭 참석해야 한다. 학과장 인사말이 그 속에 끼어 있고 또 장기자랑이라는 순서가 있어 내가 광대놀음을 하게 되어 있기 때문이다. “신입생 환영회에 밴드값, 장소 값, 술값으로 80여만 원을 꼭 써야겠어?”라고 말하면 그들은 무엇을 몰라도 한참 모른다는 듯이 나를 쳐다보며 이건 다 예산에 들어 있다고 말한다. 또 불쑥 수업을 빼고 학생들이 MT를 가겠다고 게시판에 광고를 붙인다. 벌써 준비가 다 된 뒤 일이다. 당일 수업담당 교수에게서는 이미 수업을 빼기로 허락을 받았고 외부에서 출강하는 교수에게는 보강계획까지 만들어 제출하게 하고 시외전화로 출강 안 해도 된다고 연락이 된 지 오랜 일이다. 또 이들이 데모를 시작하면 보통 일이 아니다. 이건 학생이 주인이고 학과장은, 심부름꾼이다. 오, 학과장이여! 오, 교수여!

오승재 장로 

•소설가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오정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