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교사] 믿음으로 한국 땅에 뛰어든 배위량 목사 (117)

Google+ LinkedIn Katalk +

구미에서 상주까지 (44) 

상주(尙州)는 상기(上記)한 바처럼 경상도(慶尙道)란 지명이 나온 터전이다. 그 정도로 상주란 도시가 민족사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는 말일 것이다. 배위량은 상주에 1893년 4월 27일(목) 밤에 도착하여 5월 1일(월)에 상주에서 예천용궁으로 출발했으니 상주에서 3박을 한 것이다. 상주에 도착한 이튿날인 4월 28일 금요일 오전에 쓴 일기에 “어제는 비교적 괜찮은 하루였다. 우리는 쉴 수 있는 방을 겨우 얻었고, 오늘 오전에는 책을 판매하고 있는 중이다”라고 하는 것을 보면 고된 하루 일과를 마치고 쉴 수 있는 안식처를 얻었다는 안도감을 엿볼 수 있는 글이다. 

그런데 배위량이 “어제는 비교적 괜찮은 하루였다”고 말할 수 있었던 배경이 무엇일까? 배위량은 낙동에서 상주로 오는 동안 김서방을 만날 수 있었고 그에게 점심을 대접받았다. 그렇게 시간을 지체한 것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 있는 상주에 늦게 도착한 것 같다. 상주에서 쉴 수 있는 안식처를 찾느라고 이리저리 다니다가 어렵게 방을 잡았다. 여행 중에 예기치 않게 아는 사람을 만나는 것은 행운이 아닐 수 없고, 잠을 잘 수 있는 방을 얻었다는 것도 큰 행운이 아닐 수 없다. 정확하게는 알 수 없지만, 이런 전 맥락에서 그가 “어제는 비교적 괜찮은 하루였다.”고 말한 것이 아닐까? 

배위량은 4월 28일 금요일 오전, 상주에서 쓴 일기에 “오늘 오전에는 책을 판매하고 있는 중이다”라고 말한다. 배위량을 잘 모르는 사람들은 한국에 건너온지 얼마 되지 않는 배위량이 책을 판다는 것에 대하여 의아하게 생각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한국에 끼친 영향과 그의 선교 스타일을 아는 사람은 그의 그런 행동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배위량은 한국 근대 인문학의 아버지이다. 그는 숭실대를 창립한 사람이고 근대 인문학을 보급하고 가르쳤다. 그 숭실대학은 한국의 첫 근대의 대학이다. 그런 의미에서 배위량을 한국 인문학의 아버지로 불러야 마땅할 것이다. 그리고 그는 많은 글을 썼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부인 애니 베어드와 함께 많은 서양 책을 한국어로 번역하여 한국에 소개했다. 책을 판다는 것은 그 책의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다. 배위량은 순회전도 여행을 하면서 여행지에서 일기를 써서 자신의 전도 활동의 역사를 기록에 남겨 한국 교회사와 선교 역사에 더없이 귀중한 자산을 선물했다. 동시에 그는 시간이 나면 책을 번역하기를 힘썼고 그 번역한 책을 출판하여 한국에 소개할 때 그것을 그냥 공짜로 나누어 주지 않고 팔았다. 그렇게 팔았던 책은 그 당시 한국민에게는 서양 종교와 문화를 접하는 중요한 기회가 되었다. 그때 팔았던 책을 통해 배위량은 한국 선교에서 문서 전도의 위대함을 드러내었고 그가 한 이런 행동은 한국 선교 역사에 큰 족적을 남겼다. 그가 영남지역에서 선교하면서 세운 원칙은, 비록 그의 선교의 중요한 열매가 서울과 평양에서 맺어졌지만, 영남으로 온 그의 후임 선교사들에게 전수되어 그 원칙을 따라 위대한 선교의 열매가 영남지역에 맺어졌다. 아울러 이러한 원칙을 배위량 자신도 서울과 평양에서 선교사로 일하는 동안 잘 지켜 그가 세운 선교 원칙은 서양 선교사들에게 영향을 미쳐 많은 선교의 열매를 맺게 되었다. 

“오늘 오전에는 책을 판매하고 있는 중이다”란 말은 그의 사업을 위해 하는 일이 아니라, 그의 생각 속에는 위대한 하나님의 나라 건설을 꿈꾸면서 한국의 미래상을 그리면서 이 땅의 백성들에게 꿈과 희망을 선물한다는 의미로 생각할 수 있다. 그것은 꿈이 있는 민족은 언젠가 그 꿈을 이룰 수 있다. 당시 조선 말기의 어수선하고 민족의 운명이 태풍 앞에 서 있는 촛불과 같이 흔들리고 가난과 무지로 힘들고 어렵게 살아가는 이 땅의 백성들에게 책을 공짜로 나누어 줄 수도 있었을 텐데, 그는 그런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자기가 애써 번역하고 출판한 책을 팔았다. 그는 쉬운 길을 선택하지 않고 어렵고 돌아가는 길을 찾았다. 어려운 사람에게 공짜로 나누어 주면 삽시간에 그 책을 소비할 수 있고 인심도 얻겠지만, 그는 그 책을 팔았다. 책을 그냥 나누어 주면 시간도 벌고 더 많은 사람들을 접하고 전도 활동도 더 활기를 띄고 좋겠지만, 배위량은 어렵고 힘든 방법을 선택하여 그 책을 힘겹게 가지고 다니면서 꼭 필요한 사람들에게 그 책을 돈을 받고 팔았다. 그는 그것으로 사업상 이득을 보기 위한 의도가 아니라, 당장은 욕을 먹을 수는 있겠지만, 먼 미래를 바라보면서 그는 그 책을 팔았다. 어떤 책을 산다는 것과 공짜로 얻는다는 것은 책에 대한 자세를 달리 가지게 한다. 

당시에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았다. 한문은 아는 사람은 더 귀했다. 그나만 이 땅의 백성들 중에는 한문은 모르지만, 세종대왕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아는 사람은 더러 있었다. 그래서 배위량은 서양의 신앙 서적을 훈민정음으로 번역하는 작업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배위량뿐만 아니라, 많은 초기의 서양에서 온 조선  선교사들이 당시 이 땅에서 살아가는 조선 사람들이 사용하는 글이 한문이 아니라, 훈민정음이란 것을 알고 그 땅의 백성들이 읽을 수 있는 글로 성경을 번역하고 찬송가를 번역하는 작업을 하고 신앙서적을 번역하는 작업을 훈민정음을 사용하여 했다. 그 당시에 그들은 훈민정음을 창제할 세종 당시와 같이 사라진 4글자를 포함한 28자의 훈민정음으로 글을 썼다. 하지만, 글도 말도 발전한다. 어느 시기부터인가 세종이 1446년에 훈민정음을 창제할 당시부터 사용한 28자에서 4자를 빼고 한글 24자만 사용하여 한글이란 이름으로 글을 쓰고 있다. 그런데 사라진 4글자만 더해지면 세상의 더 많은 소리를 한글 속에 담을 수 있을 텐데 참 아쉽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즉 영어의 ‘L’ 발음은 한글에서 ‘ㄹ’로 표기할 수 있지만, ‘R’의 발음은 한글로 표기하기 어렵다. 한글의 세계화를 꿈꾸는 요즈음 더 넓은 세계를 담기 위하여 민족의 위대한 자산을 지키고 가꾸고 보존하기 위하여 조상이 남겨 준 훈민정음에서 사라진 4자를 찾고 연구하여 한글의 불완전한 부분을 채우고 완성해야 할 것이다. 

세계의 모든 소리와 음가를 한글 속에 담기 위하여!

그것이 만약 한국에 문학사가 쓰여진다면 그 첫머리에 한글로 성경과 찬송가를 번역한 것이 들어가야 한다고 춘원 이광수가 말한 것처럼, 한국 기독교는 민족사에서 많은 위대한 일을 해 왔다. 우리 자신의 가치를 찾고 지키기 위해, 배위량이 노력한 일을 가치 있게 지키기 위하여 한글을 연구하고 가꾸는 것도 한국교회의 중요한 일의 한 부분일 것이다. 그것은 문학가의 일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목회자가 좋은 설교를 한 후 아름다운 문체로 그을 써서 보존하고, 평신도들이 아름다운 문구로 시와 수필과 소설을 써서 남기고, 신학자가 좋은 글을 써서 전수하는 이러한 모든 것이, 한글의 발전과 보존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다. 

그럴 때 

그런 것과 함께 

한글을 연구하는 성실한 언어학자들이 나타나 

사라진 훈민정음의 4글자를 찾고 

연구하고 현재의 한글에 적용하고

그것을 보급하여 

한글의 세계화에 이바지하는 

그런 길이 열리지 않겠는가!

필자는 그렇게 꿈꾸고 기대하며, 작은 일이지만, 필자에게 주어진 일을 하고자 한다.

배재욱 교수

<영남신학대학교>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