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계이슈] 한국교회 목사 열전 (1)  한국교회의 첫 선교사 이기풍 목사 ②

Google+ LinkedIn Katalk +

제주에 파송 제안 … 한국교회 첫 선교사로 임명받아

‘이재수의 난=신축 교난’ 천주교와 제주민 간의 갈등 

1907년 조선예수교장로회 독 노회가 조직되었을 때 제1회 졸업생 일곱 명이 목사 안수를 받았다. 사흘째 되는 날 길선주 목사가 제주에 선교사를 파송할 것을 제안했다. 이때 이기풍 목사가 자원했다. 이사야 선지자에게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하셨을 때 이사야가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사 6:8)라고 한 것처럼 이기풍 목사가 자원했다. 1907년은 한국교회에 성령 운동이 일어났고, 독 노회가 조직되며, 첫 선교사를 파송한 해가 되었다. 

이기풍은 1907년 선교사로 임명받았다. 1907년 9월 독 노회 회의록에는 “전도 국에서 제주에 선교사를 파송하되 그 봉급과 비용(費用)은 전국 노회가 담당하기로 작정하고 선교사는 이기풍 씨 내외로 선정하다”라고 적었다. 백낙준에 따르면 이기풍이 선교사가 된 데는 그의 자원에서다. 찰스 클락 선교사는 이기풍이 “조선예수교장로회 독 노회를 조직하게 하신 하나님께 감사하는 마음에서 퀠파트(제주도)에 기쁘게 선교사로 나섰다”고 적었다.

이기풍이 선교사로 파송되던 1907년이 평양 부흥 운동이 시작되던 해라는 점을 생각하면 복음이 아니면 조국 조선이 있을 수 없다는 비장한 각오를 이기풍에게서도 엿볼 수 있다. 이기풍 후로 “외지 전도”가 “선교”라는 공식어가 되었다.

그가 정작 선교사로 떠날 생각을 하니 두려워졌다. 그때 아내 윤함애는 “우리가 가지 않으면 누가 저 불쌍한 영혼을 구하겠어요? 주저 말고 떠납시다”라는 말에 용기를 얻었다. 

이기풍과 윤함애는 1908년 평양을 떠났다. 인천으로 가는 두 사람을 보고 여전도회원이 모두 울었다. 이기풍 목사 가족은 조그마한 목선을 타고 인천항을 떠나 여러 번 풍랑을 만났고 간신히 군산항을 거쳐 목포에 이르렀으나, 거센 풍랑으로 사모는 함께 갈 수 없었다. 사모와 아기는 목포에 남겨두고 이기풍 목사만 먼저 제주로 떠났다. 그 배가 난파해 많은 사람이 익사했으나 이기풍 목사는 간신히 헤엄쳐서 추자도에 닿았다. 

이기풍 목사는 1908년 2월 제주도 산지 포구에 도착했다. 당시 산지 포구는 제주와 육지의 문물 교역이 활발했다. 제주에 기독교 선교를 펼친 이기풍 목사도 산지 포구를 통해 들어왔다. 그런 점에서 산지 포구는 제주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의미가 크다. 그러나 그를 반기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가 전도하려 했으나 많은 난관이 가로막았다. 같은 민족이나 언어와 풍습이 다른 제주, 말이 잘 통하지 않았고, 미신과 주민들의 반대로 고통을 겪었으며 숙식할 곳도 없어서 때로는 산기슭, 바닷가, 마구간에 쓰러져 기운 없이 정신을 잃었다. 길 가는 사람을 붙잡고 전도하면 그를 두려워 손을 저으며 “설러버려, 설러버려 야기가 끊어지갠” 하면서 도망쳤다. “그만두어라, 그만두어라. 내 목이 달아난다”라는 뜻이었다. 어린아이들이 돌을 던졌을 때 10여 년 전 마펫 선교사에게 돌 던진 것과 같다. 

외국인들이 탐나국(耽羅國), 외국 땅과 같았고, 선교가 시작되었을 때 ‘신축교난(辛丑 敎難)’이 지나간 20세기 초였다. 천주교는 ‘신축 교난’이고 제주는 ‘이재수(李在守)의 난(亂)’이었다. ‘이재수의 난’=‘신축 교난’은 1901년이었다. 이 사건은 천주교와 제주민 간의 갈등이었다. 이 사건이 양 편에 큰 상처를 주었다. 

이승하 목사<해방교회 원로>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