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돌아 본 삶의 현장] 이원설 총장 [1]

Google+ LinkedIn Katalk +

내가 1985년 8월 3일 귀국하자 소란했던 대학은 내가 떠난 후 교무처장이던 김수철 교수의 학장 직무대리 체제가 끝나고 한남대학 제2대 학장으로 이원설 박사가 첫 학기부터 취임한 상태였다. 그분은 외국에 있는 교수에게도 신경을 쓰는 것 같았는데 내게도 5월 중순에 편지해 왔다. “…요즘에는 학교의 창학이념 구현을 위한 교직원 세미나도 있었고 도서기증 운동을 통해 교수, 직원, 학생들이 새로운 학풍을 위하여 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캠퍼스 헌수(獻樹)운동이 일어나 아름다운 캠퍼스 가꾸기에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 8월 초에 귀국하실 때까지 주 안에서 평안하시기 빕니다.” 이런 내용이었다. 학내에 많은 변화가 생겼고 특히 내가 부임한 2학기 초에는 신임 교수가 9월 3일 자 신문에 16명이나 소개되었다. 

이원설 박사를 나는 한남대학에서 이한빈 총장 다음으로 훌륭한 분이었다고 생각한다. 자기 과시욕이 과한 게 흠이라고 할 수 있었지만. 그는 1951년(25세)에 미국에 건너가 케이스 웨스턴(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에서 정치학 석사, 역사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1961년 귀국한 것으로 알려졌다. 34세에 문교부 고등교육국장을 비롯해 초대 주미 장학관, 미국 아드리안대 교수를 거쳐 다시 경희대로 돌아와 세계대학총장회 사무총장, 경희대 대학원장, 부총장을 지냈다. 대외 활동도 화려해 코리언헤럴드(Korean Herald) 칼럼에 계속 기고하고 많은 저서를 내고 있었다. 

그는 오자마자 종합대학 인가신청을 먼저 했다. 그가 제출한 종합대학 인가 신청서는 오 학장 때 그렇게 힘들던 것이 10월 말에 승격 허가가 나고 대학은 축제장으로 바뀌었다. 그는 1986학년도에는 한남대학교 초대 총장이 되었다. 그는 취임사에서 이 대학이 기독교 명문사학으로서 사명을 다하게 할 것을 공약하면서 장기 발전계획을 세우되 첫째 과거의 빛나는 전통의 재완성, 둘째 현재 주변 여건 변화에 창조적 대응, 셋째 이천년대를 향한 미래지향적인 대학을 만들겠다고 공약했다. 총장이 된 해 1986년이 바로 개교 30주년이었다. 공약의 가시적 출발로 한국, 미국, 일본, 대만, 필리핀 등 우리 대학과 자매결연한 대학의 인사를 다 초청해 국제 학술대회를 개최했다. 또한, 취임사의 공약이었던 대학의 장기발전 계획을 세우기 위한 위원회를 만들었다. 위원회는 대학의 자체평가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고 자체평가 기획위원회를 구성했다. 그런데 이것은 교육부 추진사업이기도 해서, 교육부 대학 교육협의회는 우리 대학을 ‘자체 평가대학’으로 지정했고, 이 대학의 자체평가 보고서는 교육부에서 좋은 평을 받았다. 

새 총장을 맞아 좋은 출발이었다. 실제 이 총장의 7년 치적은 한남대학교의 기초를 다졌다고 할 만했다. 그는 매사를 거침없이 추진해 나갔다. 4월 개교기념 행사로 각종 심포지엄을 개최하고 캠퍼스 미화로 교문 준공식, 상징탑 헌정식, 고 정성균 선교사 기념비 제막식 등을 계속 진행했다. 또 국내외에 유력 인사들로 총장 자문위원회를 구성했고, 서울, 대전, 세계를 망라한 총장 자문위원회를 유명 인사들로 조직하고 제1차 대학 발전기금 모금 운동도 시작하였다. 모금 목표는 2백만 불(14억 원)로 미국에서 1백만 불, 국내에서 1백만 불로 정하고 그 구체적인 계획도 작성 발표했다. 대학발전, 인류문화 향상, 사회복지 증진에 뚜렷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수여하는 대학장 제도를 만들어 ‘한남인’들의 미래상을 수상자들을 통해 볼 수 있게 하겠다고 학생들을 고무했다. 맨 먼저 대학장을 받은 분은 지방 유지이며 숭전대학 시절부터 대전대학의 분리를 주장하며 대전대 후원회장이었던 박 외과 원장이었다. 동시에 1988년에는 박 원장에게 무의촌 순회 진료 등 헌신적 활동으로 명예 이학박사학위도 수여했다. 이렇게 정치적인 제스처도 적지 않았다. 박 원장은 바로 ‘한남대 후원회’ 회장이 되었다.

오승재 장로 

•소설가

•한남대학교 명예교수

•오정교회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