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경영] 연륜이 쌓일수록 정들고 의지 되는 부부

Google+ LinkedIn Katalk +

가장 친밀한 사이면서도 소원하게 사는게 부부다. 캘리포니아에 사는 한 주부가 색다른 이색광고를 낸 일이 있다. “남편을 염가로 양도합니다. 사냥도구와 골프채 그리고 사냥개 한 마리를 덤으로 드립니다.” 광고가 나간 후 이 주부는 60여 통의 전화를 받았다. 그중엔 남편은 필요 없고 사냥도구와 사냥개만 살 수 없느냐고 문의하는 사람도 있었다. 또 이미 이혼한 주부들은 이혼 후 겪은 어려움과 후유증을 말하며 만류하기도 했다. 이혼 후 자녀 양육이 힘들고 외로움 등을 말하며 웬만하면 참고 살라는 충고가 대부분이었다. 

이혼을 하면 또 다른 행복의 세계가 펼쳐질 것으로 생각했다. 그런데 막상 헤어지고 보니 행복의 열차가 아닌 또 다른 고통의 시작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이혼한 사람들의 70~80%는 후회를 하는 것이다. 좋아하던 것도 싫증나면 바꾸고 싶은 것이 사람의 마음이다. 

주부들에게 바꾸고 싶은 물건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남편과 가구”라고 합창을 한다. 농담이지만 웃음바다가 된다. 꼭 있어야만 하는 필수품인데도 소유가 되어 버리고 나면 시들해지는 것이 인간의 감정이다. 내 아내가 한마디 거든다. “오래된 가구는 다 바꾸었는데 아직까지 못 바꾼게 하나 있는데 그게 남편이라고….”

남편과 가구의 공통점이 있다. 둘 다 모두 말이 없다. 꼼짝도 안 하려고 한다. 때때로 거추장스럽기도 하다. 정감 있는 언어나 감정의 소통을 할 줄을 모른다. 세월과 더불어 낡아진다. 쓸모나 값어치도 떨어진다. 오래될수록 칙칙해지고 매력도 없다. 버리기도 그렇고 그렇다고 같이 있기도 그렇고…. 

어느 시인은 ‘가구’라는 시로 부부관계를 묘사하기도 했다. 

“아내와 나는 가구처럼 자기 자리에 놓여 있다 / 장롱이 그랬듯이 / 오래 묵은 습관들을 담은 채 / (중략) / 본래 가구들끼리는 말을 많이 하지 않는다 / 그저 아내는 아내의 방에 놓여 있고 / 나는 내 자리에서 내 그림자와 함께 / 육중하게 어두워지고 있을 뿐이다”

시어 속에 녹아있는 언어들이 삶의 생기가 없다. 칙칙하고 무생물 같은 느낌이다. 무겁고 기대나 기쁨도 없다. 설렘도 없다. 우리 부부는 40여 년 전에 자개로 만든 장롱을 구입한 일이 있다. 내 딴엔 큰마음 먹고 아내가 원해서 구입 했다. 아내는 그 자개장롱을 바라보며 얼마간 행복해하며 즐감했다. 정교하게 표면에 자개로 만든 모양들이 신기하기도 하다. 닭을 쫓는 농부들이나 소모는 농촌 풍경 그리고 각종 동물들을 계수도 하며 마냥 마냥 즐거워했다. 그 장롱은 겉모양이 매우 아름답다. 그런데 얼마가 지나더니 시들해지고 말았다. 이제는 별로 관심도 없다. 그렇게 좋아했고 사랑했었는데도 말이다.

접시꽃 같은 연인의 사랑도 오래된 가구와 같이 변질될 수도 있는 게 부부간의 부박한 사랑이다. 내 아내도 나에 대해서 낡은 가구처럼 많은 노부부들이 말없이 무덤덤하게 살아간다. 모두가 둘밖에 없는데도 말이다. 살날이 얼마나 남았다고…. 

남의 말을 들으려 하지도 않는다. 입만 열면 노인성 잔소리이다. 그래서 행복해야 할 가정에 웃음이 없다. 냉기가 도는 거실에는 TV 소리만 들릴 뿐이다. 나이가 들수록 아집에서 벗어나지를 못하고 옹고집스럽다. 

태도와 생각을 바꾸자. 지옥이 천국이 된다. 그리고 배우자 보다 더 좋은 의지할 사람은 없다. 연륜이 쌓여 오래될수록 정이 들고 의지가 되는 게 부부다. 웬수같더라도….

두상달 장로

• 국내1호 부부 강사

• 사)가정문화원 이사장

공유하기

Comments are closed.